크리에이터 글 모아보기
-
2023년 03월 21일 hot
블록체인 게임에 대한 접근 (2)
블록체인 게임에 대한 접근 (2) 체인별 주목할만한 최신 web3게임 / 대형 게임사의 진행 방향은? / 정부의 블록체인 규제 1.'CHAIN'별 주목할만한 최신 Web3게임 2.'대형 게임사'의 진행 방향은? 3.국내 정부의 블록체인 게임에 대한 '규제' 1편 블록체인 게임에 대한 접근 (다시보기) 이후 2번째 시리즈를 드디어 완성하게 되었습니다.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읽어주셔서 이번 편은 더욱 시간과 노력을 들여 제작한 것 같습니다. 많이 부족하지만 읽어주심에 감사드립니다. 1.체인별 주목할만한 Web3 게임 BNB / POLYGON / NEAR / ARBITRUM / ETHEREUM 현재 블록체인 게임 시장의 총 게임의 수는 1910개이다. (글을 쓰는 지금도 더 늘어나고 있다) 이 중 대부분이 빛을 보지 못하고 소멸될 가능성이 농후한 게임들이 많다. 이 중에서 모든 게임을 가려내는건 거의 시간상 불가능하지만 체인별 앞으로 주목할만한 게임들을 몇 가지 소개해보려고 한다. 선정한 게임들은 블록체인 게임의 중요한 요소들로 살펴보았고, 그 중요 요소란 VC에게 투자를 받았는지, UI그래픽이 상대적으로 훌륭한지, Game Guild,DAO에서 활성화된 유저층을 기반으로 하였는지를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중요 요소 중 하나인 토크노믹스 부분을 제외한 이유는 토크노믹스만으로 매스어덥션을 이룰 게임은 없다고 생각했고, 우선적으로 기존 web3게임에 실망한 유저+일반 web2 게임의 UIUX에 익숙한 유저가 느낄 호감도를 생각했다. 이 글은 개인의 생각 및 시선으로 정리한 글이며, 투자의 조언은 아니니 가벼운 관심 정도로 봐주시면 좋겠다. 각 체인별로 여러 게임들을 추가하고 싶었지만, 체인마다 온보딩된 게임이 모두 훌륭했던 것은 아니며 개인의 기준 요소와 맞지 않아 몇몇 체인 자체는 소개가 불가능했다. 그렇다고 제외된 체인이 훌륭하지 않다는 것은 아니니 감안해주셨으면 좋겠다. BNB chain — Ultiverse Ultiverse 최근 진행한 화이트데이 기념 이벤트 최근 BNB체인 X Web3 Easytalk 트위터 스페이스에서 BNB 체인 현업자가 언급한 주목할 만한 게임 프로젝트는 바로 얼티버스(Ultiverse)이다. 얼티버스는 메타버스 플랫폼인 [Terminus City], 언리얼 엔진5 기술기반의 AAA MMORPG인 [Endless Loop] , 게임 내 마켓 플레이스 [Bazaar], 런치패드 , Arcade 미니게임 센터를 구축 중이다. 그들의 첫 번째 게임인 [무한루프endless loop]는 은하계를 탐험하며 행성을 탐색하고 외계생명체를 사냥하면서 우주 정거장 건설을 하는 게임이다. 블록체인의 AAA 게임, 몰입형 VR 호환 세계 및 Web3 통합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게임 메타버스를 계속 구축중인데, 아무래도 팀의 이력이 수준급이라도 꾸준한 개발을 위한 자금, 즉 벡커가 합류하지 않으면 지금 같은 시장에는 힘든 상황이 될 것이다. 다행히 22년 3월부터 얼티버스는 DeFiance capital, Binance labs의 전략적 투자와 인큐베이팅을 받고 있다.그들이 주도한 시드라운드는 1천만달러의 투자를 유치시켰고 (한화로 132억원) 바이낸스 생태계에서 활동할 프로젝트이다. BNB체인 현업자가 기대해도 좋을 게임이라 하니 지켜보는것도 좋을 듯 하다. 리서치 참고 Link link3.to/ultiversedao Polygon Chain Blast royale / Pirate nation / Metatoy city / Oath of peak Blast royale 블래스트 로얄은 First Light Games에서 만든 모바일 배틀로얄 게임이다. iOS와 Android를 둘 다 지원하고 있으며 굳이 NFT가 플레이를 하는데 필수적이진 않다. 그러나 게임 속 아이템 커스텀을 통해 공격력이나 수비력을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게임 속 장비나 자원은 판매가 가능하며 토너먼트나 프로선수로 활약할 수 있다. 배틀로얄 게임시장이 발달된 만큼 블록체인 게임 시장에서도 선점 목표로 하고 있다. 공식 파트너는 Animoca Brands,Dragonfly,shima capital,Skyvision,AvocadoDAO 등 33개 회사가 참여했다. 백서를 살펴보면 엄청나게 꼼꼼한 세부 내용들과 함께 (많이 고민하고 준비한 흔적이 보인다) 토크노믹스도 함께 제공중이니 관심있는 유저는 살펴보기 바란다. linktr.ee/blastroyale PirateNation 복셀 아트 해적게임인 Pirate nation 은 시타델(Citadel)에서 만든 NFT기반 RPG게임이다. 해적 선장을 모으고 배를 모으고 약탈하는 그런 다양한 퀘스트를 진행하는 내용인데, 주목할 점은 복셀 아바타임에도 자연스러운 그래픽과 재밌는 게임 진행 , 그리고 블록체인 게임의 불편한 점이었던 매번 트랜잭션 승인 창에 대한 UX를 개선시킨 세션 키(Session Keys)라는 기술을 사용했다는 것. 게임 트랜잭션 권한이 부여된 보조 지갑은 백그라운드에서 거래가 서명되니 맘 편히 게임에만 집중할 수 있게 된다. 실제로 해 볼 예정 Rumble Racing Star 국내 블록체인 게임 개발사 디랩스에서 만든 웹3 레이싱 게임. 럼블레이싱 스타는 유저가 본인의 PFP로 잔디 깎는 기계인 론모어를 타고 레이싱을 하는 웹3 게임이다. 다양한 트랙과 아이템, 스킬이 있어 독특하고 중독성 있는 게임을 보여줄 것 같다. 현재 GDC 2023 (Game Developers Conference)에 참가해 폴리곤 부스에서 데모버전 시연을 진행한다고 한다. 4월 6일 어드벤처 패스를 발행하는데, 그전 Premint에서 3월21일부터 allowlist 추첨을 받는다고 한다. 패스권은 0.1eth이며 조금 가격은 있는 편. 그래도 재밌을 것 같아서 기대 된다. Link MetatoyCity 메타토이시티는 샌드박스 네트워크의 IP, 메타토이드래곤즈의 픽셀 그래픽MMORPG 게임이다. 게임은 iOS와 Android 둘 다 가능한 모바일 게임이며 메타토이를 가지고 핵 앤 슬레시 전투에서 이겨 $ZMT 토큰을 얻는 P2E이다 . 플레이어 배틀, 보스 싸움이나 습격에 참여하는 등 플레이하고 장비와 무기 수집이 가능하다고 한다. 게임에서 사용되는 NFT는 두 가지, 게임 플레이 , 브리딩에 사용되는 히어로즈 NFT(MTHZ)와 메타토이길드하우스(MTGH)라는 길드,스테이킹에 사용되는 하우스NFT, 그리고 토이즈(MTYZ) NFT가 있다. 근데 백서를 보면 따로 게임에 대한 자세한 스토리 텔링이나 게임 로드맵 , 팀의 기술 , 토크노믹스 와 같은 내용 언급이 없었다. 개인적인 기준이지만 이런 언급이 있어야 지속 가능한 게임을 위해 고민하고 만들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는데 그러한 내용이 중점이 아니라 그냥 토큰과 NFT의 판매 세일 , 업그레이드나 NFT 등급에 대한 얘기만 중점적으로 나타나 있는게 아쉽다 . (근데 왜 이 콘텐츠에 추가했냐하면 최근 소식이기 때문…) 샌드박스 네트워크의 계열 프로젝트는 (퍼블리싱 포함) 대부분 NFT민팅 전까지’만’ 활발하게 활동하는 경향이 있어 마케팅 실력은 좋지만 게임이든 nft든 지속 가능하게 끌어가는 부분은 조금 아쉬운 것 같다. 만들어 놓으면 유저들이 알아서 잘 사용하겠지~ 라는 생각을 하는건진 모르겠지만 web3시장에선 절대 하면 안되는 착각이다. 참고로 The Sandbox와 샌드박스 네트워크는 전혀 다른 회사이다. (과거 2020년에 유튜브 콘텐츠 관련 파트너쉽을 맺은 이력은 있음) Oath of Peak Oath of Peak은 Yeeha games라는 Unity, Riot, Tencent, Netease, FunPlus, IGG와 같은 게임 회사 출신들이 만든 게임이다. 고대 신화와 전설을 배경으로 하는 Free-to-Play MMORPG 게임인데 PC와 모바일 iOS,Android 모두 가능하며 캐릭터, 게임 3D그래픽이 훌륭하다 . 일반적으로 보던 MMORPG와 흡사하다. 1월에 정식 출시된 게임으로 토큰인 $PKTK 는 off 체인과 on체인에서 쓰이는데, 토큰을 소각해서 Shells라는 재화랑 교환하고 판매하거나 장비 업그레이드 등 아이템을 획득,판매하여 인플레이션을 조정한다고 한다. 직업은 파이터,마법사,암살자,힐러,원거리 딜러로 구성되어있다. 그리고 스피릿 비스트라는 애완동물이나 몬스터를 양육하거나 번식시키며 사냥을 할때 함께 할 수 있다 . Web2의 MMORPG 게임을 경험해 본 사람들도 블록체인 게임의 기존 그래픽들보단 Oath of Peak의 잘 만들어진 UIUX로 거부감 없이 즐길 수 있을 듯 하다 백서 게임화면 Arbitrum Chain Beacon / Smolville 현재 1위로 올라와있는 TridentDAO 게임은 Risk2Earn 의 game-fi 이다. 조금 특이한 구조인데 라이브 플레이가 가능하며 MMO에 통합된 DEX구조라고 보면된다. Trident MMO는 우주가 배경인 2D의 비디오게임이며 무료로 플레이가 가능한데,2D그래픽은 아비트럼 생태계에서 유명한 The Beacon과 비슷한 느낌이다. 현재 1위로 올라온 이유는 캡쳐 당일인 21일에 폴로닉스 거래소에 토큰이 상장되었기 때문이며 곧 게임 생태계 로드맵의 DEX인 OasisSwap DEX가 출시되기 때문이다. Beacon 그리고 2위로 밀린 Beacon이 있다. 비콘은 PvE 액션 로그라이트 RPG 게임이다. 비콘은 12월의 일일 활성주소만 2K~4K이었고 일일 신규 사용자 또한 12월 1일 최다 5천명을 기록하며 아비트럼 생태계의 가장 핫한 게임이 되어버렸다. 다른 P2E게임과는 다르게 NFT를 구매해야 플레이 할 수 있는 룰이 아닌 게임 내 기본 캐릭터와 하우스 세트를 증정 받을 수 있다 . 그리고 연동되어 있는 마켓 플레이스에서 게임 내 아이템을 $MAGIC 토큰을 통해 거래하거나 다양한 장식품을 모아서 본인의 캐릭터 및 하우스를 커스텀하며 업그레이드 시킬 수 있다. 레이어2인 아비트럼 트랜잭션의 25%를 점유하는 TreasureDAO($MAGIC)은 국내 트레저다오 정보를 주로 전달하는 [마인부우의 크립토볼 채널]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Minebuu님이 작성한 트레저다오 소식을 추가하자면 LifeForce, Kuroro Beasts 외 다양한 게임이 합류할 것으로 보이며, 최근 비콘의 성공과 매직의 거래소 상장으로 이러한 퀄리티 높은 겜들의 합류가 가속화 될 것으로 보인다고 한다. 특히 대부분의 아비트럼 게임은 트래져 생태계로 합류하는 흐름을 가지고 있으며 EIP-4844로 아비트럼의 수수료가 대폭 감소한다면, 다른 레이어1 게임들이 아비트럼으로 이전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아비트럼 체인 생태계가 더욱 확장하는 일등공신은 바로 TreasureDAO($MAGIC)가 아닐까? 곧 출시예정된 게임들은 아래와 같다 Bridgeworld P2E game Life P2E game Smolville Metaverse game Smolville 특히 스몰빌은 최근까지 AMA 를 진행할정도로 활발하게 개발중이며 최근 백서를 통해 더욱더 자세한 내용을 전달했다. 한국 P2E 길드 DAO인 Web3stat DAO가 번역한 백서의 내용에 따르면 스몰빌은 아비트럼과 트래져다오의 유명PFP인 스몰브레인NFT를 시작으로 커뮤니티가 구축하는 메타버스라고 한다. 스몰 보유자들은 랜드NFT를 클레임할 수 있고 스몰빌 내에서는 커뮤니티 아티스트들이 많은 파생상품과 아이템들을 상점에 추가할 수 있다. 스몰코인으로 해당 아이템들을 구매하고 판매할 수 있으며, 스몰은 랜드 위를 여행하며 각 소구역들을 꾸밀 수도 있다. 모바일과 PC 둘 다 가능하다. 관련AMA영상 관련트위터 번역백서 아비트럼 체인 추가 소식) 최근 OpenBlox 게임 플랫폼이 아비트럼 체인을 지원하며 사업 확장을 했다.관련뉴스 TreasureDAO에 새로운 게임 스튜디오 Darkbright Studio가 런칭했다는 소식이다.관련트위터 Ethereum Undead blocks / Rogue blox / My Pet Hooligan Undead blocks Free-to-Play의 좀비 서바이벌 FPS게임이다. 일반 FPS게임과 같이 무기NFT를 고르고 좀비들을 죽이면서 퀘스트 하는 게임인데 랜덤으로 플레이어들과 팀을 짜서 게임하거나, 혼자 서바이벌 게임진행이 가능하다 . PC로 진행되는 게임이지만 MAC 유저도 게임이 가능하며 마우스&키보드 또는 게임 컨트롤러를 이용할 수 있다. 플레이어는 좀비를 죽일때마다 보상을 받을 수 있고 무기는 나이프, 야구방망이 , 도끼 , 권총, 소총 , 샷건 , 석궁 , 웨이브 건 등 다양하게 존재한다. 게임시 연결된 마이크나 오디오로 통신 기능이 추가되어있어 플레이어끼리 소통하며 게임할 수 있다. 게임 토큰은 유니스왑과 게이트io에서 거래가능하며 NFT는 오픈씨에서 구매 가능하다. 로드맵은 꾸준히 업데이트 중이며 로드맵은 21년 3분기부터 잘 진행되고 있는 편. 투자자는 블록체인 게임 분야로 주로 투자하는 Animoca Brands , Double peak, Genblock capital , Exnetwork capital이 있다. Link 백서 미디움 게임영상 RogueBlox 로그블록스는 M2E 프로젝트인 Runblox의 회사 Openblox에서 만드는 게임이며 이더리움 및 아비트럼 체인을 사용하고 있다. 가지고 있는 카드로 캐릭터pvp전투를 하는 게임이다. 작년 11월말 알파 테스트를 시작으로 이제 런칭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지금 바로 플레이가 가능한 웹3게임들은 실제로 고해상도와 그래픽을 가진 게임들이 많이 생겨나고 있고 상대적으로 재미성이 결여되어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카드게임이더라도 챌린지나 스토리텔링이 중요할 듯 하다. Link My Pet Hooligan Unreal Engine 5로 제작된 My Pet Hooligan은 독점적인 Metaverse인 The Rabbit Hole에서 펼쳐지는 PvP 게임으로, AMGI Studios 엔터 스튜디오에서 개발. 독특한 Grand Theft Auto(GTA)와 Zootopia에서 영감을 받은 3D 캐릭터의 PFP 로 시작(현재 1이더)_ 지금은 PvP 게임 아바타로 성장중이다. 게임 상태도 좋아 22년 7월 YGG와 파트너쉽 맺고 YGG에선 적극적으로 게임 진행중이다. 현재 비공개 알파 2.0이 3월 말에 이벤트와 함께 출시될 예정이며 모바일 게임은 계속 개발중이다 . Link Near Protocol 1월 드림플러스에서 쟁글이 주관한 블록체인 파운데이션 위크에 레이어1 블록체인 NEAR Protocol의 NEAR Korea 스캇 리(Scott lee) 대표는 웹3 생태계 확장을 위해 게임 분야에 초점을 맞춰 게임 플랫폼으로 거듭날 수 있게 목표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국은 많은 개발자가 있고 글로벌한 대형 게임사 + 훌륭한 웹2 기반의 게임 회사가 많은 게임 강국이기에 한국 회사의 게임을 온보딩 하는 것을 중심으로 두고 있다고 한다. 니어 코리아가 게임 산업에 집중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블록체인 게임의 핵심 옵션은 바로 신뢰를 기반한 안정성과 사용하는 유저 친화성(User Friendly)이다. 이런 면에서 니어의 특징이 두드러지는데, 바로 유용성과 확장성을 위해 구축된 동적으로 샤딩된 지분 증명, 테크적으로는 거의 완벽한 기술을 가지고 있는 메인넷이자 탄소 중립 블록체인이라는 점이다.특히 최근 **BOS (Blockchain Operating System)**를 토입, 모든 블록체인 플랫폼과 호환되는 공통 레이어 역할의 운영체제를 도입한다고 전했다. 사용자와 개발자는 BOS를 통해 ‘오픈 웹’을 띄우거나 탐색하며 다양한 게이트웨이에 빠르게 접근이 가능하다고 한다. 이러한 NEAR의 기술적 장점과 함께 기존 팬층과 탄탄한 IP기반의 국내 게임회사들과의 제휴를 통해 WEB3 게임 개발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게 되는 날이 온다면 국내외 게임 활성 유저들을 기반으로 NEAR 생태계는 폭발적으로 성장하게 될 것이라 생각한다. 그렇다면 NEAR 생태계에서 주목할만한 게임은 무엇이 있을까? 가장 최근에 나온 글( TOP10 NEAR 게임)을 접했는데 픽셀 그래픽으로 재미와 유저 도입을 위해서는 아직은 부족한 듯한 게임 퀄리티가 대부분인 점이 아쉬웠다. 아, 그래서 NEAR 코리아에서 발벗고 나섰구나 싶었달까 ? 최근 ETH Denver에서 만난 NEAR Korea의 scott lee 대표님께 자세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NEAR는 게임사들이 좋아할 만한 Feature들이 많은데 , 속도와 gas fee 그리고 키 구조나 Function Key를 잘 활용하면 본인의 프라이빗 키를 위임하지 않아도 특정 Function Key만 위임하고 게임에 행동만 트래킹 하게 한다던지, 기존 게임에서 아이디를 넣듯이 zero balance account로 자신의 계정을 이메일처럼 만들고 토큰을 다른 유저에게 쉽게 전송할 수 있게 될 것이라 한다. 여기엔 계정추상화 기능이 들어있고 account extension이 들어간다는 설명을 덧붙였다. 즉 프로젝트사 입장에서 유저들에게 키를 받지 않아도 계정으로 토큰을 드롭할 수 있는 것이다. 최근 니어코리아 허브는 카카오게임즈의 블록체인 계열사인 META BORA 싱가포르와 전략적 파트너쉽을 맺으며 목표를 위한 직접적인 성과와 변화를 보여주고 있는 중이다. 2.대형 게임사의 진행 방향은? 네오위즈(NEOWIZ) Intella X — EOS Gold 초기 생태계 파트너 국내 대형 게임사인 네오위즈와 협업한 폴리곤은 Intella X web3 게임 플랫폼을 개발했는데 1200만달러 자금 조달,Polygon, Animoca Brands, Magic Eden 등 20곳 이상의 투자 참여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네오위즈의 강력한 IP와 게임경험은 블록체인 게임 시장 전반에 많은 활력과 수요를 이끌어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데 필자는 Intella X에서 출시될 게임에 주목하고 있다. 소셜 카지노 게임과 MMORPG, 전술RPG, FPS 게임이 나올 예정인데 대부분 TBA 지만 현재 진행상황으로는 인텔라X의 월렛이 2월 13일에 런칭되었고 곧 어나운스 할 예정인 게임은 EOS Gold이다. 그러나 인텔라X는 작년 11월 나온 뉴스에 의하면 토큰 8772만개 발행 즉시 1000개의 지갑에 전송되어 논란이 있었는데, 진정성 있는 게임 플랫폼 개발 및 시장에 기여하는 모습으로 재미와 퀄리티를 구축한 게임을 보여주길 고대하고 있다. Roadmap M 위메이드(WEMADE) 뉴시스 뉴스에 따르면 블록체인 게임 사업 현황에 대해서는 “1월 31일에는 자체 개발 MMORPG 블록체인 게임 미르 글로벌을 전 세계 170여 개국에 출시하였으며 기존에 서비스하고 있던 미르4 글로벌과 인터 게임 이코노미를 구현했다”며 “미르 글로벌의 최고 동시 접속자는 출시 이후 6일 만에 10만 명을 돌파했으며 2월 15일 12만 명을 넘어서는 매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고 밝혔다. 또 게임 운영 서버는 출시일 기준 14개로 운영을 시작하여 현재까지 18개의 서버를 추가 증설하며 총 32개의 서버로 서비스되고 있다. “신작 MMORPG 게임 나이트 크로우와 위믹스 플레이 원보딩 게임 출시도 순조롭게 진행 중”이라며 ”올해 4월 국내 출시 목표인 매드엔진 MMORPG 나이트 크로우는 언리얼 엔진 5 기반 최고 수준의 그래픽을 구현한 중세 유럽 배경의 대작 게임으로 오는 3월에 사전 예약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나이트 크로우의 경우 일반 버전과 블록체인 버전이 있다. 일반버전은 4월 출시라 사전예약을 받고 있고 블록체인 버전은 하반기에 선보일 예정이라고 한다. 카카오게임즈(KAKAOGAMES) 카카오게임즈의 블록체인 BORA가 올 한해 로드맵을 공개했다. 작년 9월 선보였던 블록체인 게임 아키월드는 게임 내 토지에 자신의 텃밭과 집을 짓고 농작물을 수확하면서 생산된 결과물을 인게임 마켓플레이스에서 게임토큰으로 교환하게 만든 P2E 게임이다 . 아키월드는 공식 트위터를 통해 근황을 살펴볼 수 있는데 공식 트위터의 좋아요, 댓글 등 활동유저는 보이지 않지만 1월 랜드NFT 거래량은 꽤 있었던 걸로 보인다. 기존 게임인 아키에이지워는 업로드된지 4시간만에 앱스토어 매출 1위에 등극했다. https://twitter.com/Nftstat_io/status/1615624829142700034?s=20 최근 로드맵을 통해 2분기에 하이퍼 캐주얼 게임 출시, 3분기 NFT 퍼즐 게임, IP기반 NFT스포츠게임, 4분기엔 IP기반 MMORPG 게임과 IP 기반 무브 투 언(M2E) 프로젝트 , 소셜 카지노 등 다양하게 출시할 예정이다. 크래프톤(KRAFTON) 더게임스데일리 뉴스 올해 4분기즈음 런칭예상인 크래프톤의 Create 2 Earn 기반 메타버스 플랫폼의 이름은 미글루(MIGALOO)이다. 모바일로 서비스될 예정인 메타버스 플랫폼 미글루는 제페토(ZEPETO)를 개발한 네이버제트와 협업 제작중인데, 크리에이터는 랜드NFT를 구매하고 구매한 가상공간을 활용해서 콘텐츠와 아이템 제작을 하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랜드NFT는 인테리어가 가능하며 스페이스에서 콘서트,전시,게임을 할 수 있다고 한다. 어떤 식으로 공간이 만들어질지, 그리고 크리에이터들을 위해 제공될 콘텐츠 창작툴은 어떤 형식일지 궁금해진다. 런칭이 됬을즘엔 현재의 Web2 SNS에서 크래프톤의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이전하는 현상이 생길까? 아니면 하나의 선택지가 될까? [메타버스]는 성공할 수 있을지 크래프톤의 활약이 기대된다. 3.국내 정부의 블록체인 게임에 대한 규제 게임위는 NFT거래 등으로 사행성이 있다고 판단하며 관련 게임 회사들에게 등급 분류를 거부해왔다. 게임산업법에 따르면 게임에서 획득한 점수,경품,게임머니 등을 현금으로 바꾸는 행위가 금지돼있고 거래 가능한 NFT는 경품에 해당한다고 판단하고 있다. 법원이 이렇게 게임위의 손을 들어주면서 국내 P2E 게임의 미래는 더욱 어두워졌다. 국내 일반 대중에게도 많은 사랑을 받았던 나트리스의 무한돌파 삼국지 리버스가 1심에서 패소하면서 더욱 국내 게임 규제는 변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과거 기사에 따르면 지난해 12월20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는 문화예술법안심사소위원회를 열고 게임산업법 개정안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었다. 개정안에는 확률형 아이템 관련 규제가 포함돼 있었지만 의견 차이로 개정안을 의결시키지 못했다. 규제를 반대하던 A 국회의원은 , 현재 자율규제가 원활하게 이뤄지고 있는데 법으로 규제하는 것은 산업에 피해를 준다며 또 해외 게임사와 역차별 우려가 있다고 밝혔었다. 지난 해에 이어 정리되지 못한 규제였던 “확률형 아이템” 규제는 올해 2월 법안이 통과되었고 게임사는 자사에서 서비스 중인 게임의 확률형아이템 확률 정보를 게임물, 홈페이지, 광고 및 선전물에 표시해야 할 의무가 법적으로 부여되었다. 현재 국내 블록체인 관련 게임 회사들은 해외 시장을 겨냥하고 있고 국내 P2E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는 하지 않고 있다. 현재 P2E 게임 규제를 하는 나라는 한국과 중국 , 베트남 세 나라뿐이며 국내 게임 개발사인 네오위즈와 위메이드는 중동에 현지 법인까지 만들며 게임 개척지로 노리고 있다. 국내에서 게임 인식이 안좋은 이유는? 사실 과거부터 게임에 대한 이미지는 원래 좋지 않다. 게임이 사람의 정신과 심리에 안좋은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뉴스에서도 게임으로 인한 살인,폭력 등 여러 사건들이 기사화되며 게임은 사람을 폐인으로 만들며 ‘폭력적이다’ 라는 이미지가 굳혀졌다.(한국 드라마의 게임 하는 등장인물들은 모두 폐인모드였다) . 다른 나라에 비해 우리나라는 특히 ‘보수적’이다. 게다가 2000년대 중반 사회적 문제로 떠오른 ‘바다이야기’ 사태로 인해 사행성 게임에 엄격한 잣대를 적용하고 있다. 정부에서 P2E 게임을 허용하지 않는 이유도 ‘바다이야기’의 악몽을 기억하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우리나라는 가망이 없는걸까? 투자자보호법이 만들어지면 그때는 조금 완화될 수 있을까? 과거 강력한 코인 규제가 있었던 [박ㅇㅇ의 난]이라고 재밌게 불리던 때와 조금은 달라진 분위기에 크립토 친화적인 분위기를 띄고 있지만 , 정부의 게임 규제로 인해 오히려 게임 산업의 발전은 친화적이기보단 조금 더뎌지는듯 하다. 규제에 막혀 제대로 된 클로즈 베타 테스트도 하지 못하고 , 국내 게임길드의 블록체인 게임 경험이나 피드백 없이 해외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블록체인 게임에 대한 접근 (2)' 포스트의 썸네일 -
2023년 02월 14일 hot
2023년 최고의 메타버스 TOP 10
2023년 최고의 메타버스 TOP 10 해당 글은 Dapprader의 글을 인용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원문 보러가기 Accenture의 최근 연구에 따르면 2025년 말까지 메타버스 경험과 상거래에서 총 1조 달러의 시장 가치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한다. (90%)는 2023년에 그렇게 되길 원하고 있다. 10가지의 메타버스 프로젝트 Decentraland The Sandbox Hyperfy Substrata Voxels Somnium Space Spatial Matrix World NFT Worlds Netvrk 1. Decentraland 디센트럴랜드 홈페이지 https://www.instagram.com/p/CeNU2jkPO0E/?igshid=YmMyMTA2M2Y%3D Decentraland는 ETH에서 구동되는 오픈 소스 메타버스이다. 사용자가 소유한 LAND를 탐색하여 놀라운 장면과 구조물을 경험하세요. 우주 모험에서 중세 던전 미로, 커뮤니티 구성원의 마음으로 만들어진 전체 마을에 이르기까지. 작년 Decentraland는 Fashion Week, Art Week, Metaverse Music Festival 등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이벤트를 인큐베이팅했다. 또한 하이네켄, 삼성, 나이키, 콜라-콜라, 스타벅스, 도미노, 아디다스가 디센트럴랜드를 통해 브랜드 경험을 호스팅하여 WEB3유저들에게 선보였다. Decentraland의 VR 버전은 이미 지원하고 있는데, 유저는 Oculus Quest 2로 플레이 해 볼 수 있다. 2. The Sandbox 샌드박스 홈페이지 샌드박스는 플레이어가 UGC(User Game Creative)를 지원하여 직접 게임을 제작하고, 소유하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메타버스이다. 지속 가능한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 누구나 3D 게임을 만들 수 있는 게임 제작 툴을 제공하는데 유저들은 코딩을 할 줄 몰라도 게임 제작자가 되어 샌드박스에 참여할 수 있다. 최근 시즌 3에서 Atari는 고전 게임인 Crystal Castles를 부활시키기도 하였는데 다양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어 여러 형태로 참여할 수 있다. 비디오 및 오디오 스트리밍과 함께 멀티플레이어 게임 플레이 기능이 도입됨에 따라 The Sandbox는 2023년에 기대 이상의 가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 사우디아라비아와의 파트너십은 샌드박스를 계속해서 지켜봐야 할 이유가 될 것이다. 3. Hyperfy Hyperfy 홈페이지 Hyperfy는 이더리움 체인에서 구동되는 메타버스 구축 플랫폼이다. 유저가 오픈 마켓플레이스에서 자유롭게 소유하고 거래할 수 있는 전 세계를 디자인하고 구축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한다. 모바일, PC 또는 VR 웹 브라우저(오큘러스 퀘스트2)에서 완전한 몰입감과 맞춤형 아바타를 제작하여 메타버스에 바로 적용시킬 수 있다. 3D 디자인 및 코딩이 가능하다면 SDK를 지원하여 틀에 구애받지않은 자유로운 제작이 가능하다. 출처: 트위터 https://twitter.com/itsmetamike/status/1617191320916983808?s=20&t=6DMToxz1ReMGwCeR9Fp28w 4. Substrata Substrata 홈페이지 Substrata는 멀타 메타버스이다. 다른 유저들과 채팅하거나 다른 유저가 만든 장소 및 캐릭터를 탐색할 수 있다. 무료 계정을 만들어 세계에 나만의 캐릭터를 추가할 수도 있다. Substrata의 랜드는 판매용 이며 Ethereum NFT로 발행된다. 아직 초기단계에 불과한 이 프로젝트의 멤버들은 그래픽 기술에 대한 다양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고품질의 출력을 보장하면서 메타버스에 필요한 많은 양의 동적 콘텐츠를 처리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3D 엔진을 개발하기도 하였다. 자세한영상 https://youtu.be/5cKDiktip2w 예시 5. Voxels 복셀 홈페이지 Voxels는 이더리움 체인의 메타버스 구축 및 공유 플랫폼이다. 유저는 메타버스 내에서 자산을 개발, 탐색, 거래 및 소유할 수 있다. Cryptovoxels는 NFT 열풍이 시작되면서 2021년 명성을 얻었지만 이름을 Voxels로 변경했다. 현재 여전히 가장 유명한 메타버스 플랫폼 중 하나이며 모든 형태의 3D 건물과 장소를 구축하기 위해 디지털 아티스트와 개발자를 끌어들인다. 6. Somnium Space Somnium Space 홈페이지 https://twitter.com/ASychov/status/1622721032581775360?s=20&t=9ifl_CGTH_Li2LKlD8H4IA Somnium Space는 개방적이고 사회적이며 지속적인 VR 세계이며 현재 Ethereum 및 Solana에서 실행할 수 있습니다. 유저는 랜드를 구입 및 소유하고, 꿈의 집을 짓고, 사업을 시작하고, 라이브 콘서트, 파티, 비디오 게임과 같은 모든 종류의 엔터테인먼트 및 친목 파티 등을 즐길 수 있습니다. VR, PC, Web 등을 통해 접근할 수 있으며 모바일까지 실행이 가능하다. 이 프로젝트는 현실에 풍부한 추가 기능을 제공하고 무제한적이고 흥미진진한 가능성으로 가득 찬 가상 환경을 만드는 장기 비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7. Spatial Spatial 홈페이지 Spatial은 크리에이터와 브랜드가 자신만의 공간을 구축하여 문화와 열정을 함께 공유할 수 있는 3D 메타버스 플랫폼이다. 유저에게 사용하기 쉬운 도구를 제공하여 다양한 콘텐츠를 쉽게 만들 수 있다. 클릭 한 번으로 나만의 3D 세계 구축할 수 있다. 무료 3D 템플릿 중 하나인 Sketchfab 모델을 사용하여 가상공간을 꾸미거나 Unity 에서 제공하는 Spatial Creator Toolkit을 사용하여 커스텀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홈페이지 메인화면 지갑 로그인 없이도 쉽게 플레이할 수 있으며 현재 스타워즈, 마리오 등 다양한 세계를 유저가 구축하여 선보이고 있다. 8. Matrix World Matrix World 홈페이지 Matrix World 는 현재 Flow 및 Ethereum을 지원하며 앞으로 더 많은체인에서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Matrix World에서 유저는 3D 아키텍처를 구축하고, 이벤트를 개최하고, NFT를 전시하고, Matrix의 내장 계산 리소스를 사용하여 자신만의 3D 분산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로우 코드 도구를 제공하여 모든 사람이 창작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Matrix World의 베타 버전은 2023년에 출시되며 2024년 초에 공식적으로 공개될 예정이라고 한다. 9. NFT Worlds NFT Worlds 홈페이지 NFT Worlds는 이전에 Polygon 체인을 사용하여 Minecraft 위에 구축된 메타버스 플랫폼이었다. 그러나 2022년 7월 20일부터 마인크레프트의 NFT를 배척한다는 발표로 인해 NFT Worlds는 자체 게임 및 메타버스 생태계를 개발하고 있다. 오픈 소스 플랫폼으로 메타버스 개발 및 게임 플레이 혁신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번창하는 커뮤니티를 육성했다. 일반적인 메타버스에서는 플레이어가 플랫폼에 포함되지 않은 개별 편집툴을 사용해야 하는데 NFT Worlds에서는 유저가 플랫폼을 떠나지 않고도 게임 내에서 편집할 수 있다. 10. Netvrk Netvrk 홈페이지 Netvrk는 게임, 엔터테인먼트, 이커머스 플랫폼, 교육 및 소셜 네트워킹이 하나의 몰입형 환경에 공존하는 다중 체인 메타버스이다. 지원하는 기기로는 PC, 모바일, VR 기술을 통해 플랫폼에 접근할 수 있다. Netvrk는 Unreal Engine 5를 활용하여 정교하고 충실도가 높은 메타버스 경험을 제공한다. Netvrk의 최초 메타버스 이름은 Genesis Islands이다. 15,000개의 NFT 구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고유한 생물 군계와 5개의 개별 구역에 분산되어 있다. 플레이어는 광대한 메타버스에서 토지를 탐색하고 상호 작용하고 소유할 수 있다. 공식 로드맵에 따르면 2023년 1분기에 알파 버전을 출시할 예정이라고 한다' 2023년 최고의 메타버스 TOP 10' 포스트의 썸네일 -
2023년 02월 07일 hot
블록체인 게임에 대한 접근
블록체인 게임에 대한 접근 1.기술 트렌드는 'GAME'에서 나타난다. -게임의 발전 역사 ~ P2E까지 2.블록체인 게임은 뭐가 다를까? -'길드 DAO / Governance' -게임이 성공할수록 나의 수익도 비례한다 3.블록체인 게임 모델 2가지 -캐주얼 게임 -AAA 게임 4.블록체인 게임의 '한계' 5.눈여겨보는 게임 프로젝트 -'Illuvium' (AAA) -'The Beacon' (캐주얼 RPG) 6.2023 is a 'BUIDL' year for gaming TL; DR 게임의 역사는 곧 기술의 역사. 최근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한 게임들이 업계 내에서 화두되며, 블록체인의 특성을 활용한 인게임 경제 생태계 개발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음 블록체인 시장은 연평균 70% 성장률을 기록하며 빠르게 성장하는 중. 이와 같은 고속 성장의 배경에는 거버넌스 및 수익 공유를 통한 유저 참여도 및 적극성 개선이 있음 블록체인 기반 게임은 크게 캐주얼과 AAA로 나뉠 수 있음. 엑시 인피니티는 캐주얼한만큼 빨리 시장의 반응을 얻었으나, 지속 불가능한 토크노믹스와 게임의 단순성 등으로 현재 부진 중. AAA 게임의 경우 유저 리텐션 측면에서 긍정적이나 아직 갈 길이 멀음 캐주얼 게임의 버블이 꺼지면서 소위 ‘찍먹’ 유저가 나타나고, 캐주얼 게임 특유의 제한적인 몰입성이 수면 위로 부각됨 2세대(?) 블록체인 게임들이 이러한 이슈를 어떻게 해결할지 지켜볼 필요. 캐주얼 게임인 비콘은 유저들에게 지속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해 게임 참여를 지속적으로 유도하며, AAA 게임인 일루비움은 높은 퀄리티의 언리얼 엔진 그래픽을 기반으로 재미있는 블록체인 게임을 개발하는데 주력 중으로 기대되는 부분 블록체인 게임의 한계에 직면했지만 투자자(VC)는 게임 경험이 있는 스튜디오에 투자하며 장기적인 추세로 전망 돌입 1.기술 트렌드는 게임에서 나타난다 <게임의 발전 역사 ~ P2E까지> 게임은 아주 오랜 기간 존재해 왔다. 게임은 과거 고대 인류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선사 시대와 고대 문명은 처음에 뼈를 사용하여 초기 형태의 주사위를 만들었고 그게 게임의 시초인걸로 알고 있다. 현재의 주사위 6면과 달리 선사 고대의 유희 도구는 매우 외면이 불규칙했고 그만큼 주사위의 진화는 게임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했는지 보여주는 부분이다. 게임은 항상 다양한 기술을 채택하는 방법의 하나기도 하다. 게임의 역사는 기술의 역사라 생각하는데 게임의 공간, 수단 모든 것들이 기술의 발전이 없다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테크놀로지 기술이 쓰이는 50년대부터 비디오 게임이 시작되는데 시간이 흘러 90년대에는 마우스를 사용하여 클릭, 드래그 앤 드롭 하는 기술부터 현재는 몰입감 넘치는 게임을 위해 언리얼 엔진 기술을 이용한 FPS, MMO RPG를 하거나 많은 사람이 VR 헤드셋을 사용하는 게임을 한다. 결국 기술로 일컫는 강력한 그래픽 성능과 다양한 개발 옵션, 시장의 동향에 따른 빠른 변화는 곧 게임의 역사가 되는 것이다. 그 역사는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한 게임 개발로 이어지고 있다. 기존 게임은 중앙 집중식이라 캐릭터,스킨,무기 등 모든 걸 다른 게임에서 사용할 수 없지만, 블록체인 게임은 그들의 게임 생태계에서 공통된 재화로 쓰이는 디지털 자산을 마켓 플레이스에서 거래 후 소유할 수 있고, 또 다른 게임에서 재화로 사용 가능하다. 19년 말 코로나의 창궐로 외부 활동이 제한되자 지난 3년간 게임 , OTT( over-the-top media service ) 스트리밍 시장이 엄청난 활성 볼륨을 보였는데 그러면서 소비자들은 자연스레 돈이 되는 게임에도 관심을 두고 주목하기 시작한다. 블록체인 게임은 게이머들이 실제로 돈을 벌 수 있게 도와준다는 말에 많은 사람들에게 이슈가 되었는데 그쯤 P2 E 게임들이 우후죽순 생기기 시작했고 함께 다가온 것이 크립토 강세장이었다. Source : https://www.youtube.com/watch?v=Lg5C2EbYueo 폭발적인 유입과 매출로 이슈가 된 엑시 인피니티를 생각해보자. 경기 침체와 코로나라는 상황에서 게임만 하면 돈을 벌 수 있다고 하는 구조에, 어렵지 않아 누구나 할 수 있다는 인식이 퍼져나가게 되면서 필리핀의 남녀노소 어디서든 게임을 하는 모습을 youtube 다큐멘터리를 통해 본 사람도 있을 것이다. ‘돈이 되는 게임’을 생각하면 P2E 게임이라고 칭하지만, 지금은 폰지 사기의 절정체라고 불릴 정도로 부정적인 게 사실이다. 다양한 P2E가 출현했지만, 지속 가능한 생태계를 구축한 프로젝트는 없었다. 애초에 Earn이라는 게임에 대한 접근 방식과 게임 내 재화인 토큰 인플레이션에 대한 방어는 턱없이 부족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 이후 P2E게임 이미지는 유저의 손실이 대부분인 분야, 돈은 초기 진입이 아니면 벌 수 없는 구조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게 된다. 그럼에도 현재 블록체인 게임 시장은 2022년 46억 달러에서 2027년 657억 달러로 약 70%의 연평균 성장률로 성장할 것이 예측되고 있다. 2.블록체인 게임은 뭐가 다를까 2–1. 길드에서 DAO로 / 거버넌스 블록체인 게임 기반 길드는 웹2 게임의 전통적인 길드처럼 다른 게이머와 함께 몬스터를 상대하기 위해 팀을 이루어 활동하는 길드의 개념에서 더욱 업그레이드했다. 유저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게임사가 조처를 하는 방식을 넘어 유저가 주도권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게이머 — 게이머간의 BM이 만들어졌다. 21–22년 강세장 당시 게임 관련 길드가 많이 생겨났는데 그 당시 많이 언급되는 시스템이 바로 길드를 통한 스콜라십(Scolarship)이었다. 스콜라십의 경우 게임에 필요한 캐릭터 NFT를 구매한 유저가 계정을 대여해주는 개념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이 스콜라십을 이끄는 거대한 길드의 유입으로 게임은 수요가 늘어났지만 그들 또한 게임 프로젝트에 롱텀의 관점보단 숏텀으로 바라보며 수익을 우선으로 하였고 결국 큰 파도가 휩쓸고 지나간 자리를 보듯 거래량이 현저히 낮아지고 게임의 수명은 줄어들었다. 21년 강세장 당시 여러 길드의 활동으로 폭발적인 거래량을 보여주며 스콜라십이 인기를 끌었고 현재는 게임 퍼블리셔의 형태를 강하게 띠며 길드는 DAO+플랫폼화되어가고 있는 듯하다. Game guild DAO에 대해 살펴보자면 가장 유명한 길드는 YGG(Yield Guild Games)인데 YGG는 30개 이상의 게임과 파트너 관계를 맺는 동시에 다오 구성원을 통해 블록체인 게임이라는 진입 장벽을 보다 낮추며 신규 게이머들의 유입을 만들었다. 게이머들에게 교육을 확장하며 다양한 지역에 subDAO를 설립하였는데 22년 상반기에는 총 인원이 3만명에 육박하였다.(아래 표 참고) Source : YGG 그 외에도 현재 4000명의 게이머가 있는 Merit Circle , 1만명 이상의 활성유저가 있는 Avocado DAO , UniX Gaming, GGG(Good Games Guild) ,GuildFi 등이 있다. 게임 길드 내에서의 구성원들의 활발한 활동은 투자까지 확장시킬 수 있었는데 좀더 자세한 내용은 추후 다뤄볼 예정이다 . 21–22 초 강세장의 길드 토큰 추이 웹3 게임의 길드는 탈중앙화 자율조직인 DAO로 더 업그레이드 되고있다. 커뮤니티에서 더 나아가 DAO 조직에서 유저가 권한을 가지고 게임 프로젝트의 토큰 경제 방향과 로드맵, 개발 등에 대한 운영 참여와 스트리머, 인플루언서 및 게임 콘텐츠 크리에이터 등 각 역할에 대한 보상을 통해 지속 가능한 게임을 유지할 중요 역할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여기서 블록체인 기술이 사용된다는 점은 길드의 자체 토큰을 발행하여 DAO 거버넌스 모델을 구현했고, 분산형 투표 시스템을 통해 제안서 작성 및 투표 프로세스는 오프체인으로 진행 , 제안에 대한 투표는 토큰으로 진행하여 투명성있는 기록으로 남겨지게 된다. 그리고 DAO구성원의 트레저리는 멀티 시그 모델을 특징으로 하는 지갑에 저장할 수 있다. 이런 툴은 스냅샷(Snapshot)이나 노시스 세이프(Gnosis Safe)에서 주로 서비스 하고있다. 2-2.게임이 성공할수록 나의 수익도 비례한다 몇 년간 공들여 만든 높은 레벨 캐릭터와 아이템은 게임이 성공할수록 더욱 많은 가치로 OTC를 통해 매매는 가능하지만 금지되어있고 모든 캐릭터의 아이템이 수익이 될 수 없다. 그리고 기존 게임의 모든 재화 (아이템 , 게임 머니 , 집 등) 는 나의 소유인 것 같지만 실은 게임 개발사의 소유이다. 그러나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게임의 경우 게임 속 재화에 대해서 게이머가 재산권을 행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현실 재화로까지 그 영역을 넓힐 수 있다. 심지어 한 게임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재화가 아닌 다른 게임과의 연결도 가능하게 설정해두었다면 더욱 용이하다. 기존 웹2의 게임은 게임이 성공할수록 많은 사람과 게임을 할 수 있다 외엔 특별한 게 없다고 생각하는데, 반면 웹3 게임은 게임이 성공할수록 많은 게이머 유입 외에도 토큰이라는 부분을 무시할 수 없다. 물론 이 부분은 토크노믹스를 잘 구성해야 하는 부분이고, 재미가 뒷받침되어야 하는 건 당연한 이야기다. NFT 블루칩 프로젝트와 같이 커뮤니티 빌딩을 성공한 프로젝트의 유저들은 커뮤니티를 떠나지 않고 자부심을 느끼며 활동하는 이유가 뭘까? 그들의 프로젝트가 마음에 들기 때문이다. 그 말은 프로덕트가 가치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게임도 마찬가지로 프로덕트가 탄탄하고 매력적이면 자연스레 강성 게이머가 생길 것이고 커뮤니티 빌딩은 성공할 것이다 . 결국 게임이 ‘게임 답게’ 성공해야 한다는 것! 3.블록체인 게임 모델 2가지 3–1. 캐주얼 게임 9월에 DappRadar 는 캐주얼 모바일 블록체인 게임이 일주일 만에 Web2에서 Web3 게임으로 170만 명 이상의 사용자를 끌어 들였다고 보고했다. 캐주얼 게임은 블록체인 게임 중 다소 진입장벽이 낮은 게임으로 볼 수 있다. 캐주얼 게임이란 단순한 게임 방법으로 빨리 스테이지를 통과하거나 전투를 하는 게임을 말하는데 , 예를 들면 엑시 인피니티가 유명하다 . 게임 진행은 PC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 진행할 수 있지만 한때 엑시 붐이 일었던 필리핀의 경우 대부분 모바일 게임을 즐기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그럼 캐주얼 게임이 엄청난 볼륨을 보여준 이유는 뭘까? (매번 엑시라 읽는 분들은 지루하겠지만 엑시 외에 엄청난 볼륨은 없다 생각..) a.낮은 사양과 단순 플레이로 인한 낮은 진입장벽 캐주얼 게임의 대부분은 블록체인 게임의 호환성 및 확장성의 현 문제에 크게 어려운 영향을 받지 않는다. AAA게임에 비해 비교적 낮은 사양으로 게임 진행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 쉽고 편한 인터페이스 탑재로 누구나 쉽게 진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만약 동물의 숲과 같은 단순 플레이가 가능한 게임이 블록체인 게임으로 시장에 나온다면 그 호감도는 더 나은 새로운 유행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거라고 본다. b.돈을 벌어준다는 P2E의 요소 + 코로나,경제위기 봉착 타이밍 Source: PlayerCounter.com 엑시 인피니티의 활성 사용자를 국가별로 나타냈을 때 대부분은 북미, 유럽권이 아닌 특정 국가들이었는데, 게임 혁신의 허브인 미국을 제외하고 목록에 있는 나라는 일반적으로 통화가 약한 나라들이다. 이를 보았을 때 게임 플레이를 통해 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Earn이라는 요소는 그들에게 큰 매력 포인트가 되었을 것이다. Source: Axie World 플레이어가 획득할 수 있는 토큰인 $SLP(Smooth Love Potion)은 거버넌스 토큰인 $AXS에 비해 엄청난 채굴 활동으로 공급이 폭주하였는데, 이슈가 되고 이렇게 더 높은 채굴 활동이 생겨나면서 자체 소각률이 높은 공급률을 따라가지 못하며 하락하게 되었다. 그러나 엑시의 인기가 급히 식은 이유인 인플레이션 문제를 보완하기보단 단기간에 광범위한 인기를 얻은 엑시 인피니티를 보고 그저 유입을 위해 비슷한 모델을 만드는 P2E 프로젝트들이 많아졌으며 대부분 프로젝트의 GameFi 모델은 Axie를 모방한 2개의 토큰(거버넌스/유틸리티)을 구축했고 엑시 이후로 보완된 토큰 경제 구조는 현재 확실히 나오지 않은 상태이다.( 나왔다 하더라도 소리 소문없이 사라진 듯 하다..모든건 타이밍) 최근 유가 랩스에서 APE홀더들을 위한 캐주얼 게임이 출시되었는데, 바로 Dookey Dash다. BAYC 및 MAYC NFT 보유자는 Sewer Pass를 보유한 경우에 한해 두키대시(Dookey Dash)를 플레이할 수 있다. 게임은 3주간 진행되는데 Sewer Pass는 출시 1시간만에 거래량 130만 달러 기록, 일주일만에 시가총액은 1억 달러를 넘어섰는데 플레이어들 또한 일주일동안 67만 달러를 소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상적으로 다른 NFT 프로젝트 처럼 게임을 기획하며 NFT를 공개하는 것이 아니라 , 이미 성공한 NFT 프로젝트에서 기획한 캐주얼한 게임이라서 성공하는 것일까. 게임이 흥행하고 있는 이유를 한가지 더 생각해보자면 유가랩스에선 게임 진행 기간을 단 3주로 제한했다. 3–2. AAA 게임 블록체인 게임의 두번째 게임 모델은 바로 AAA게임이다. 단순한 게임과는 달리 엄청난 고사양의 스펙의 PC를 요구하며 현 웹2 게임시장의 FPS,MMO RPG와 같은 그래픽과 속도를 구현+ 게임 내 블록체인 기술을 함께 탑재해야 하기에 현재 블록체인의 확장성 및 호환성 기술로는 AAA급 블록체인 게임 개발기간은 최소 2~3년이 걸린다고 한다. MMORPG 게임 시장은 Mordor Intelligence에 따르면 2021~2026년의 기간동안 연평균 9.5% 성장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온라인 게임에 대한 증가추세는 웹2 게임시장에서만 이루어질 게 아니라 웹3 시장으로도 유입이 될 것이다. 만약 AAA급 블록체인 게임이 구현될 시 상대적으로 빨리 질려버리는 캐주얼 게임과는 달리, 게임 내 세계관 확장에 따라 그리고 동시에 대규모 게이머가 참여하는 MMO RPG인 만큼 모두가 함께 즐기고 몰입할 수 있는 특징(콘텐츠화) 이 있어 장기간 강성 유저가 많아질 가능성이 크다. 캐주얼 게임과는 다르게 완벽한 스토리 텔링과 지속할 수 있는 토큰 경제가 함께 만들어져야 기존 P2E 게임의 부정적인 시선에서 더 나은 새로운 블록체인 게임으로 부흥할 수 있다. AAA게임은 대부분 NC소프트같은 web2 대형 게임사에서 개발하고 있는데, 아무래도 강력한 IP와 노련한 경험을 토대로 많은 자금이 투입되어야 하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그렇지만 web3 기반 회사도 만만치 않다. 현 크립토 시장의 빙하기에 크립토 VC의 펀드 라이징 활동은 다소 주춤했지만 , 많은 VC에서 네이티브한 웹3 자체 게임 프로젝트 회사에 투자하고 있고, 웹3 게임길드,인터체인 게임 플랫폼 등 여러 연결고리 생태계가 만들어지고 있어 블록체인 게임 시장의 잠재력은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BNB Chain Ultiverse의언리얼 엔진5로 만든 MMORPG Endless Loop 4.블록체인 게임의 한계 사실 이 P2E라는 단어의 초석을 잘 들여다보면 과거에도 게임을 하며 돈을 벌 수 있는 방법은 만연했다. 게임을 하면 돈을 번다인 P2E가 아닌, 꾸준히 게임을 하면서 노하우가 생긴 게이머는 돈도 벌 확률이 높다가 당연했다. 게이머가 정성스레 육성시킨 캐릭터를 현금 거래를 이용하여 매매를 한다든지 무기를 판매하는 그런 방법은 우리의 어린 시절에도 존재했던 방법이다. 원래부터 게임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이런 아이템의 현금 거래에 대한 수요와 공급은 계속 증가했던 것이다.(하지만 대한민국의 모든 온라인게임 업체는 공식적으로 현거래를 금지하고 있다.관련 뉴스자료) ‘P2E’라는 단어 때문에 기존 웹2 게임의 접근 방법과는 전혀 달라졌다. 게임의 스토리텔링과 재미를 보고 접근하기보단 수익을 위해 접근한 투자자 개념의 유저가 대부분이었고 초기 투자 후 얼른 토큰 매도를 통해 수익을 챙기는 ‘찍먹’유저가 많아진 것이다. 유저에겐 블록체인 기술이 게임 생태계에서 어떻게 쓰이는지에 대한 내러티브보다 언제 게임 토큰의 매도 타이밍을 잡아야 할지 생각하는 게 당연해져 버렸다. 물론 사람들이 그렇게 생각하는 것은 블록체인 게임이라 하면 영화 레디 플레이어 원(Ready Player One)과 같은 퀄리티 높은 메타버스 세상 속의 게임을 구현하길 바라는데 사실 현 상황은 기대한 만큼의 결과가 있는 게임은 없고, 게임 토크노믹스에 대한 지속 가능한 구조 또한 구현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언제 사라질지 모르는 게임이라고 생각하고 있어서다. 5.눈여겨보는 블록체인 게임 프로젝트 현재 크립토 시장의 동태를 보면 모든 자산은 하락하고 있고 , 시장 참여자도 21년도 강세장에 비해 대부분 떠났을 정도로 거래 볼륨은 높지 않다. 게임 회사들은 로드맵대로 이행하기보단 시장 참여자들이 대거 유입되는 돌아올 강세장을 기다리며 몸을 추스르고 있는 듯하다. 특히나 작년 4분기에 (22년 10월) 있었던 결정적인 타격인 FTX 거래소의 붕괴로 FTX에 자금을 보관하던 몇몇 게임 프로젝트는 잠정 중단을 발표하였다. 그렇기에 현재 장에 추천할만한 프로젝트는 그럼에도 꾸준한 활동, 운영이 괜찮은 몇몇 프로젝트를 필자 개인적으로 선정해보았다 . 물론 이 게임 프로젝트들이 강세장이 왔을 때 엄청난 성장을 할지는 미지수이며 지극히 개인 의견일 뿐이니 투자에 대한 조언이 아니라는 점을 꼭 말하고 싶다. 5–1.일루비움(Illuvium) 일루비움은 AAA급 언리얼엔진 기반의 블록체인 게임이다. 현재 진행된 바로는, 토큰인 $ILV 상장과 랜드세일을 진행했으며 이 달 (23년 1월) 프라이빗 베타 테스트 (일루비움 제로(Illuvium: Zero)를 랜드NFT 유저에게 공개하고 있다. 게임 내 토큰인 $ILV 는 단일 토큰으로 구성되며 현재 토큰 보유자들은 회사의 지분 및 거버넌스 권한을 가진 DAO로 구성되고 있다. Snapshot 을 통해 현재 프로포절 투표를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투명한 진행 및 거버넌스 구축을 하고 있지만 참여자가 극 소수인 점이 아쉽다.(프로덕트의 문제일까) 일루비움은 VC인 Framework Ventures 시드 라운드에서 500만 달러를 받았다. 블록체인 게임 길드중 가장 영향력이 있는 YGG(Yield Guild Games)와도 파트너쉽을 맺었는데 길드의 일루비움 활동을 통해 초기 대거 유입이 기대되는 부분이다. 특히 바이낸스 리서치에서도 블록체인 AAA게임으로는 유일하게 일루비움을 언급했던 만큼 게임 개발자로 구성된 팀이라 높은 퀄리티를 보장하는 언리얼 엔진 그래픽을 기대하고 있다. (아래 영상 참고) 작년 싱가포르에서 열린 TOKEN2049 행사에서 일루비움 공동 설립자는 상호 운용 가능한 블록체인 게임 (interoperable blockchain game, 이하 IBG)을 출시할 계획이고 단일토큰인 $ILV 토큰을 IBG 게임들에 사용할 것이며 Earn보다는 재미에 초점을 둘 계획이라고 밝혔다고 한다. 일루비움의 체인은 무료 가스비에 이더리움에 맞먹는 보안성을 가지고 있는 게임체인인 이뮤터블 X 이다. 이뮤터블X는 22년 체인간 월별 NFT 매출 증가율로 봤을때 가장 흑자를 보여 더욱 주목받고 있는 체인이다. Source : Messari https://illuvium.io/ https://twitter.com/illuviumio Roadmap | Illuvium Please note that development is a fluid process and all dates are subject to change. Any significant delays would be… docs.illuvium.io 5–2.The Beacon 비콘은 레이어 2인 아비트럼 생태계를 기반으로 구축된 PvE 액션 로그라이트 RPG 게임이다. 게임의 그래픽디자인과 스토리구성을 봤을때 마치 과거 메탈 슬러그와 동물의 숲 ,바람의 나라가 섞인 느낌이다. 게이머는 던전에서 많은 몬스터와 함정을 이겨내고 NFT를 보상으로 받는데 개인 플레이와 그룹 플레이(추후 런칭)가 가능하다. 다른 P2E게임과는 다르게 NFT를 구매해야 플레이 할 수 있는 룰이 아닌 게임 내 기본 캐릭터와 하우스 세트를 증정 받을 수 있다 . 그리고 연동되어 있는 마켓 플레이스에서 게임 내 아이템을 $MAGIC 토큰을 통해 거래하거나 다양한 장식품을 모아서 본인의 캐릭터 및 하우스를 커스텀하며 업그레이드 시킬 수 있다. 인게임영상 클릭 Source : Dune @treasuredao 출시 이후 트레저다오의 비콘 Dune analytics 를 참고한 결과 엄청난 게이머 유입량이 보인다. 현재 2만 6천명의 유저가 게임을 진행하고 있다. 12월의 일일 활성주소만 2K~4K이었고 일일 신규 사용자 또한 12월 1일 최다 5천명을 기록하며 아비트럼 생태계의 가장 핫한 게임이 되어버렸다. 위 블록체인 게임 모델 중 캐주얼 게임을 설명하면서 ‘만약 동물의 숲과 같은 단순 플레이가 가능한 게임이 블록체인 게임으로 시장에 나온다면 그 호감도는 제 2의 엑시를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다’ 라고 언급했는데 바로 비콘이 그런 캐주얼류 RPG게임이 아닐까 한다. 특히나 게임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재화 및 airdrop 이벤트들이 많아 유저의 참여도를 지속적으로 높이고 있는데 게임의 프로토 타입을 무료로 플레이 해볼 수 있는 던전이 최근 1월 20일에 오픈되었다. 사실 에어드랍 전략은 98%는 체리피커, 단 2%만이 생태계 참여에 형성된다는 Dun Analytics의 보고서가 있는데 PFP 프로젝트였다면 정말 그럴 수 있다. 그러나 비콘은 에어드랍과 동시에 게임을 서비스하고 있었고 살펴본 결과 유저는 게임을 즐기며 보상을 취하는 느낌을 받을 수 있었다. The Beacon Resources The Beacon | A F2P fantasy action roguelite RPG You arrive in a dangerous, faraway land. The city of Altaris has dispatched its citizens here on a mission. The Beacon… www.thebeacon.gg 6.2023 is a ‘BUIDL’ year for gaming (이 문단은 코인 텔레그래프의 글을 번역하여 추가했음.) 자본과 사용자의 유입은 블록체인 게임 토큰 가격의 급격한 하락과 플레이어의 감소로 이어졌으며 시장은 여전히 휘청거리고 있다. 그리고 FTX 재난의 여파가 업계 구석구석에 미치면서 Play-to-Earn의 전망은 표면적으로 암울해 보인다. 그러나 내부를 들여다보면 숫자는 다른 이야기를 하고 있다. 2022년 블록체인 게임 투자 할당 방법. Source : DappRadar Web3 게임 스튜디오에 대한 지속적인 자금 흐름이 이어지고 있는데 8월에 UnCaged 스튜디오는 2,400만 달러를 모금하여 그 달에만 Web3 게임 스튜디오에서 거의 7억 5,000만 달러를 모금했다. Revolving Games가 2,500만 달러를 모금한 9월과 Odyssey Interactive, Stardust, SkyWeaver가 각각 1,900만 달러, 3,000만 달러, 4,000만 달러를 모금한 10월까지 지속적으로 이어졌다. Thirdverse는 11월에 Web3 및 가상 현실(VR) 게임을 위해 1,500만 달러를 모금했다. 22년 3,4분기에만 총 9억 300만 달러, 한화로 1조 1천억이다. 이 자금 흐름 수치는 현재 암호화폐 시장의 자산 급락을 생각하면 아이러니한 상황이다. 그러나 게이머와 토큰이 흔들리더라도 VC는 블록체인 게임의 미래에 큰 돈을 걸고 있다. 투자에 대해 최근 주목할 만한 요소 중 하나는 web3 게임 초기와는 다르게 VC가 게임 경험이 있는 스튜디오에 집중하고 있다는 것이다. 최근 시드 펀딩으로 550만 달러를 모금한 Ruckus Games는 전 Gearbox 및 Riot Games 개발자가 시작한 게임 스튜디오이다. 게임 초기엔 수많은 Web3 게임 프로젝트들은 프로덕트에 대한 명확한 로드맵이 없거나 , 로드맵을 실현할 수 있는 경력을 가진 팀이 설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많은 돈을 펀딩받기도 했다.(심지어 독싱(doxxing)을 하지 않은 곳도 있다) 이제 2021년 말과 2022년 초의 화려했던 시대는 오래 전에 지나갔다. VC는 이제 5년에서 10년 후까지 장기적인 추세로 더 먼 미래를 생각하고 있다. 지금도 블록체인 기술은 서서히 발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간단한 개념들과 함께 블록체인 게임 시장이 전반적으로 어떻게 흘러가고 있는지에 대해 끄적여보았다. P2E , Game-Fi 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진 분들이 (생각보다) 많지만 나는 이 또한 자연스레 지나가는 흐름의 일부분일 뿐이라고 생각한다. 사실 글을 적으며 나조차도 블록체인 게임에 대해 어떤 스탠스를 가지고 있는지 혼란스러웠는데 자료를 조사하며 적다보니 긍정적인 방향으로 또렷해졌다. 부족한데도 읽어주신 분들께 모두 감사하다는 마음뿐이다. 2023 is a ‘BUIDL’ year for gaming! 2023.01.17 작성 Written by SEOBINA next 7.대형 게임사의 진행 방향은? 8.전문 리서치 기관의 게임 섹터에 대한 의견 종합 9.국내 정부의 블록체인 게임에 대한 규제' 블록체인 게임에 대한 접근' 포스트의 썸네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