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02월 17일 04:57

[2023년 1월] 월간 펀드레이징 마켓 리포트


TL;DR

  • 전반적인 암호화폐 시장이 하락함에도 불구하고, 펀드레이징 마켓은 2022년 상반기까지 준수한 지표를 보였음
    2022년 하반기에 촉발된 테라 사태 및 FTX 붕괴 등 암호화폐 시장의 근본적인 신뢰도 문제가 대두되었고, 펀드레이징 마켓의 활성도는 급감
  • 2023년 1월 펀드레이징 마켓의 데이터 또한 여전히 불황의 기조는 이어지고 있으나, 펀드레이징 성사 건수는 35% 증가하며 고무적인 지표가 포착됨
  • 현재 VC들은 상대적으로 딜사이즈가 작은 소형~중소형 딜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Web3 섹터의 펀드레이징이 가장 높은 활성화를 보여주고 있으나, 펀드레이징 규모 측면에서는 인프라스트럭쳐 섹터가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이고 있음
  • 23년 1월 펀드레이징 상위 프로젝트 리스트에서 zK 솔루션 개발 및 Web3 소셜, 게이밍 카테고리가 다수 겹치는 점은 주목할 만한 부분
 

1. 2022 크립토 펀드레이징 리뷰

1*jgX_yfr1qltDaMpX-RsPBA.png

2021년 11월 암호화폐 전체 시가총액은 고점을 갱신한 후, 이후 2022년에 들어서는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2021년 11월 고점 기준 전체 마켓캡은 $3T 규모에 육박하였으나, 현재 약 $1T 규모로 형성되며 시장은 급격히 축소되는 모습을 보였다.

1*ppmj6mgc5t-fivHSOGsg6w.png

이와는 반대로 크립토 펀드레이징의 경우 2022 Q2까지만 해도, 준수한 상태로 상승 유지 하는 모습을 보였다. 심지어 실제 암호화폐 전체 시가총액이 전고점을 달성한 해였던 2021년 보다도 펀드레이징은 더욱 더 활성화 되는 모습이었다.

하지만 2022년 5월 촉발된 테라 붕괴 사태에 이어, 쓰리애로우, FTX, DCG 등 굵직한 대형 기관들이 연달아 무너지며, 암호화폐 시장 자체에 대한 신뢰성 문제가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2022 Q3 펀드레이징은 급감하였으며, 심지어 2022년 12월의 펀드레이징 규모는 1월 대비 88% 감소한 상태로 2022년을 마감하였다.

2. 2023년 1월 펀드레이징 마켓 현황

1*nSsVpKKN1LjGG42hyC2x_w.png

다소 암울한 2022년 펀드레이징 마켓의 기조가 아직은 가시지 않아 보인다. 2023년 1월 펀드레이징 규모는 $566M을 기록하며 다시 최저치를 갱신하였다. 하지만 고무적인 것은 펀드레이징 건 수는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전달 2022년 12월은 고작 55건의 딜이 발생한 수준에 그쳤으나, 이번 1월은 74건을 기록하며 무려 35% 가까이 증가하였다.

이는 VC들의 지불 가능 금액이 축소되었거나, 시장 상황을 고려하여 투자 대상의 밸류에이션 산정에 보수적인 스탠스를 취하고 있음을 반증한다. 더불어 과감히 모금액을 태울 수 있는 프로젝트 또한 비교적 적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하지만 투자 건수는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보아, 시장 자체의 매력도는 유효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1*Cs9G4MIGI1o2AmKcCaVoYQ.png

통상 펀드레이징이 연초에 활성화되는 경향은 분명히 있으나, 올해 1월을 기점으로 암호화폐 시장 자체에도 훈풍이 불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이더리움 상하이 하드포크가 초읽기를 앞둔 시점에서 LSD관련 프로젝트의 가능성과, Chat GPT가 촉발한 AI 메타는 시장의 상승을 견인하게 충분한 재료가 되었다. 이에 따라 암호화폐 전체 시가총액은 작년 연말 기준 약 $800B 규모에 머물렀으나, 현재는 다시 $1T 규모를 기록하고 있다.

 
1) 전월 대비
1*GbrdFKhEKqKdctEutdP6OA.png
2) 2022 월평균 대비
1*t5DtUk-iLPYIMUojoDj6_g.png

전월과 비교했을때 펀드레이징 건수가 증가했다는 긍정적인 신호는 포착할 수 있었으나, 2022년 월 평균과 비교했을때는 건수와 모금액 모두 여전히 작년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3) 프로젝트당 평균 모금액 (VC 지불 용의)
1*E5HhVfSDctBvnPUFj4jsNg.png

프로젝트당 평균 모금액 또한 2022년 1월 $35.5M을 기록한 이후 지속적인 하락 추세로 올해 1월의 경우 $7.6M을 기록하며 최저치를 갱신하였다.

프로젝트당 평균 모금액은 벤처 투자가들의 지불 용의를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벤처 투자가들의 투심은 굉장히 악화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전반적인 딜 사이즈 자체도 매우 축소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4) 딜 사이즈별 펀드레이징 현황
1*vSiucfVQBvCaNSEgh9p9Qg.png

해당 그림은 펀드레이징 딜 사이즈를 구간별로 나누어, 구간별 총 펀드레이징 모금액을 %화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2022년 상반기까지만 하여도, $100M 이상 큰 규모의 딜이 과반 이상 차지했으나, 이후 주로 시드라운드와 같은 초기 단계의 $10M 미만 소규모 딜의 비율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시장 상황 악화로 인해 프로젝트에게 투자하는 자금 자체가 작아지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으며, 보수적인 스탠스로 저밸류에이션 프로젝트의 선호도가 증가하는 모습 또한 엿볼 수 있다.

 

1*1cyq398-dq86TXkwxVwh9Q.png

이번 1월의 경우 $10M달러 미만의 소형 딜은 총 55건에 $213M 규모의 펀드레이징이 성사되었다. 이어서 $10M-$30M 규모의 중형 딜은 총 10건에 $135M, $30M-$100M 규모의 대형 딜은 총 2건에 $93M이 성사되었다. $100M 이상의 초대형딜은 단 1건 성사되었으며, 그 규모는 $125M이다.

 
5) 섹터별 펀드레이징 현황
1*FFO8wbXjAA9TeM7bWWaltQ.png

2022년 상반기까지만 해도, CeFi 및 DeFi의 펀드레이징 비율이 꽤나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2022년 5월 테라의 붕괴로 인한 DeFi의 신뢰도에 금이 가고, 이후 추가적인 FTX 사태로 CeFi의 신뢰도도 또한 무너졌다. 펀드레이징 또한 이에 반증하듯, CeFi와 DeFi 프로젝트의 딜 성사가 급감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인프라스트럭쳐 섹터의 경우, 이더리움의 레이어2 솔루션인 옵티미스틱 롤업 계열의 가시적인 성과와 zK의 가능성이 2022년 하반기부터 점차 윤곽을 드러냈으며, 이와 더불어 멀티체인, 크로스체인, 브릿지 기술의 실사용 케이스가 다수 발생하며 인프라스트럭쳐 섹터의 펀드레이징 비율은 증가세로 전환되었다.

 

1*IWSMmFLQTRp9eXliOMkoIQ.png

이번 2023년 1월의 경우 총 74건의 펀드레이징 중 Web3 섹터에서 31건의 펀드레이징이 성사되며 가장 높은 점유율을 기록했다. 이어서 인프라스트럭쳐 섹터 23건, DeFi 10건, NFTs가 7건의 펀드레이징이 성사되었다. CeFi 섹터의 경우 3건이 성사되며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1*ENxt9JTvu1EqtbDVf73d-g.png

펀드레이징 규모의 경우 인프라스트럭쳐 섹터에서 $327M를 모금하며 가장 높은 점유율을 기록했다. 이어서 Web3 섹터 $183M, CeFi 섹터 $22M, DeFi 섹터가 $19M를 하였다. NFTs 섹터의 경우 $13M를 모금하며 가장 적은 수치를 보였다.

 

1*k4Cu4VZhoJQLUwWGnWNYkA.png

근 1년간의 흐름을 보았을때, 절대적인 펀드레이징 성사 건수의 경우 여전히 Web3 섹터가 압도적으로 많은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반면 펀드레이징 규모 자체는 인프라스트럭쳐 섹터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3. 2023년 1월 펀드레이징 TOP 10 프로젝트

1*ps9yq9EiNvYqzhNDjQ_LPQ.png

1. Blockstream, 채굴 작업 확장을 위해 $125M 모금
  • 관련기사: https://www.prweb.com/releases/2023/1/prweb19127332.ht
  • 홈페이지: https://blockstream.com/
  • 주요 투자자: Kingsway Capital, Fulgur Ventures
2. QuickNode, 시리즈 B 라운드에서 $800M 밸류에이션으로, $60M 모금
  • 관련기사: https://www.theblock.co/post/205028/quicknode-reaches-800-million-valuation-in-series-b-round
  • 홈페이지: https://www.quicknode.com/
  • 주요 투자자: 10T Fund, Tiger Global, Protocol Labs, Seven Seven Six
3. AI 결합형 Web3 소셜 플랫폼 Plai Labs, 시드 라운드에서 $32M 모금
  • 관련기사: https://www.coindesk.com/web3/2023/01/19/tech-veteran-backed-web3-social-platform-plai-labs-raises32m-in-seed-round/
  • 홈페이지: https://plailabs.com/
  • 주요 투자자: a16z
4. zK 기술 개발사 Nil Foundation, $220M 밸류에이션으로, $22M모금
  • 관련기사: https://www.theblock.co/post/203411/zk-tech-developer-nil-foundation-raises-22-million-at-a-220-million-valuation
  • 홈페이지: https://nil.foundation/
  • 주요 투자자: Polychain, Starkware, Mina Protocol, Blockchain Capital
5. ZK 증명 스타트업 Ulvetanna, 시드 라운드 $15M 모금
  • 관련기사: https://www.theblock.co/post/203568/zk-proof-funding-seed
  • 홈페이지: https://www.ulvetanna.io/
  • 주요 투자자: Jump Crypto, Paradigm
6. Web3 인프라 기업 Parfin, Framework Ventures 주도로 $15M 모금
  • 관련기사: https://www.theblock.co/post/202496/framework-ventures-leads-parfins-15-million-raise-to-provide-web3-rails-in-latam
  • 홈페이지: https://parfin.io/en/
  • 주요 투자자: Framework Ventures
7. 마켓메이커 CyberX, Foresight Ventures 주도로 $15M 모금
  • 관련기사: https://www.coindesk.com/business/2023/01/12/crypto-market-maker-cyberx-gets-15m-from-foresight-ventures/
  • 홈페이지: https://www.cyberx.com/
  • 주요 투자자: Foresight Ventures
8. 소셜 암호화폐 지갑 기업 The Easy Company, 시드 라운드 $14.2M 모금
  • 관련기사: https://techcrunch.com/2023/01/10/the-easy-company-raised-14-2m-to-build-an-easy-to-use-crypto-wallet/
  • 홈페이지: https://easy.me/
9. 탈중앙화 이더리움 스테이킹 인프라 Obol Networks, 시리즈A $12.5M 모금
  • 관련기사: https://blog.obol.tech/announcing-our-series-a/
  • 홈페이지: https://obol.tech/
  • 주요 투자자: Pantera Capital, Coinbase Ventures, Placeholder, Blocktower, Spratan
10. 네오위즈 Intella X, Web3 게임 플랫폼을 위해 $12M 모금
  • 관련기사: https://venturebeat.com/games/neowizs-intella-x-raises-12m-for-web3-gaming-platform/
  • 홈페이지: https://intellax.io/
  • 주요 투자자: Polygon, Animoca Brands, Magic Eden, Planetarium, Pearl Abyss, Wemix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