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에이터 글 모아보기
-
2023년 04월 12일 hot
[Weekly Report] 4월 2주차 | 비트코인, 숨고르기 끝내고 상승
비트코인의 가격이 약 한달간의 숨 고르기를 끝내고 다시 상승을 나타내며 30k를 돌파함. 이는 비트코인이 CPI가 하락했을 것이란 기대 때문에 상승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사료됨. 한편 시장은 고용 지표가 예상보다 견고한 것으로 나타나며 Fed가 오는 5월 회의에서도 기준금리를 25bp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이 70%를 넘어선다고 판단함. Fed의 긴축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경기 침체 우려는 더욱 커져가고 있는 가운데 CPI 결과 및 FOMC 의사록 등을 통해 연준의 시장 상황에 대한 평가를 가늠해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Weekly Report] 4월 2주차 | 비트코인, 숨고르기 끝내고 상승' 포스트의 썸네일 -
2023년 04월 05일 hot
[Weekly Report] 4월 1주차 | 거래소 논란 속, 렛저의 투자 유치 성공
3월 한달간 여러 이슈가 터지며 불확실성이 높아진 한달이었음. 다만 미국 정부의 빠른 대처로 금융 시스템을 안정화시켰고, 금리도 소폭 인상하여 인플레이션도 둔화시킴. 시장 또한 안정을 찾아가는 동시에 PCE가 예상치를 하회하면서 인플레이션과의 싸움에서의 진전을 나타냈고, PMI 또한 2020년 5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하며 시장에 기대감을 불어넣음. 바이낸스 규제 이슈에도 비트코인은 지난주 대비 +3.2% 상승함. 주요 알트코인은 ETH +5.7%, BNB -0.8%,XRP -3.5% 등 등락을 보였으나 대부분의 가상자산이 상승세를 나타냄.' [Weekly Report] 4월 1주차 | 거래소 논란 속, 렛저의 투자 유치 성공' 포스트의 썸네일 -
2023년 03월 29일 hot
[Weekly Report] 3월 5주차 | 금융시스템 안정에 이은 규제 리스크
은행들의 줄도산으로 시장에 혼란이 가중되면서 비트코인이 금융 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수단으로 부각되며 가격은 일시적으로 9개월만에 최고치를 경신함. 다만 비트코인의 유동성은 10개월만에 최저치를 기록하여 이번 상승 랠리가 일시적인 현상일 수 있다는 시장의 의견도 있음. 이번주 코인 등락은 BTC -3.6%, ETH -2.2%, BNB -8.3%, SOL -11.9% 등으로 대부분의 가상자산이 하락세를 보였으나 XRP는 SEC 소송 승리 기대감으로 +25%의 높은 상승을 나타냄. 한편 가상자산 공포&탐욕 지수는 지난주보다 9포인트 하락했으나 여전히 '탐욕' 단계에 머물고 있음' [Weekly Report] 3월 5주차 | 금융시스템 안정에 이은 규제 리스크' 포스트의 썸네일 -
2023년 03월 15일 hot
[Weekly Report] 3월 3주차 | 중국계 코인을 제외하고 반등에 성공
실버게이트, 실리콘밸리뱅크, 시그니처뱅크 등 은행이 파산 또는 청산되며 금융 시장에 충격을 안겨줌. 비트코인 가격도 단기적으로 2만달러를 하회하며 불안감이 형성됨. 그러다 12일 정부가 은행 예금을 전액 보증키로 발표하며 크립토 시장이 반등에 성공했고 상승 랠리가 이어지고 있음. 연준이 인플레이션과 금융 안정이라는 두 과제 사이에서 어떠한 통화정책을 내놓을지 주목.' [Weekly Report] 3월 3주차 | 중국계 코인을 제외하고 반등에 성공' 포스트의 썸네일 -
2023년 03월 08일 hot
[Weekly Report] 3월 2주차 | 미 증시와 갈라진 크립토 시장
미 증시는 고용지표가 발표되기 전까지는 뚜렷한 움직임이 없을 것으로 예측됨. 다만 크립토 시장은 지난주 대비 가파른 하락 추세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마운트곡스 채권자 변제를 위한 절차 시작, 실버게이트 뱅크런 우려, 상하이 업그레이드를 통한 이더리움 스테이킹 보상 인출 가능 등의 이슈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 고용지표 결과와 무관하게 크립토 시장에서는 위 이슈들로 인한 매도 압력을 어떻게 해소할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Weekly Report] 3월 2주차 | 미 증시와 갈라진 크립토 시장' 포스트의 썸네일 -
2023년 03월 02일 hot
[Weekly Report] 3월 1주차 | 부담스런 물가 지표에 조정세
이달초 발표된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에 이어 개인소비지출(PCE)까지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며 미국 물가지표가 7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함. 이에 연준 위원들이 매파적인 발언들은 쏟아내며 인플레이션 경계심리와 그에 따른 빅스텝 공포가 되살아나며 가상화폐 시장이 조정세를 보임. BTC는 지난주 대비 -2.2% 하락했고, 주요 알트코인은 ETH +1.2%, BNB -3.2%, TRX +0.8%, SOL -6.9% 등의 등락을 기록함. 특히 Matic(-10.6%)은 노드가 동기화되지 않는 테크니컬 이슈가 발생하며 가격이 크게 하락' [Weekly Report] 3월 1주차 | 부담스런 물가 지표에 조정세' 포스트의 썸네일 -
2023년 02월 22일 hot
[Weekly Report] 2월 4주차 | 공포&탐욕 지수, 탐욕 단계로 진입
최근 CPI 예상치 상회, 고용지표 호조, SEC 스테이킹 규제, BUSD 발행 금지 등 다양한 이슈로 인해 단기적인 조정이 발생했으나, 다시금 상승 랠리를 이어가고 있음. 다만 시장은 24일 발표될 개인소비지출(PCE)이 예상치를 상회할 수 있다는 점과 연준이 인플레이션 장기화를 막고자 추가적인 긴축에 나설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음. 금주 예정된 FOMC 의사록 공개, 2022년 4분기 GDP 수정치 공개, PCE 발표 모두가 연준의 긴축 장기화 여부와 추후 통화 정책을 결정 짓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음' [Weekly Report] 2월 4주차 | 공포&탐욕 지수, 탐욕 단계로 진입' 포스트의 썸네일 -
2023년 02월 15일 hot
[Weekly Report] 2월 3주차 | 혼란스러운 시장
연준의 긴축 기조가 지속되는 가운데 SEC의 스테이킹 규제 여파와 규제당국의 BUSC 발행 금지 이슈까지 겹치며 혼란이 가중되고 있음. 주요 알트코인은 ETH -7.1%, BNB -11.2%, TRX +1.9, SOL -8.3% 등의 등락을 보임. 특히 BNB는 주요 알트코인 중 가장 높은 하락률을 기록하였는데, 이는 BUSD를 대리 발행중인 팍소스(Paxos)가 SEC로부터 BUSD의 발행을 중단할 것을 통보받으며 이와 관련하여 조사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 [Weekly Report] 2월 3주차 | 혼란스러운 시장' 포스트의 썸네일 -
2023년 02월 08일 hot
[Weekly Report] 2월 2주차 | 횡보하는 시장 속, 아비트럼 TVL에 주목
미국 고용지표가 호조로 긴축 지속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되며 미 증시가 하락세를 보임. 크립토 시장도 가파른 상승랠리를 멈췄으나 미 증시 대비 견조한 모습. 비트코인 가격은 지난주 대비 0.1% 상승하며 횡보했고, 주요 알트코인은 ETH +3.4%, BNB +5.4%, TRX +1.9, SOL -4.7%, OKB +17.1% 등을 기록. 한편 가상자산 공포&탐욕 지수가 ‘공포’ 영역을 벗어나 ‘중립’ 단계에 도달함. 이는 9개월만에 가장 높은 수치임' [Weekly Report] 2월 2주차 | 횡보하는 시장 속, 아비트럼 TVL에 주목' 포스트의 썸네일 -
2023년 02월 01일 hot
[Weekly Report] 2월 1주차 | 비트코인에 집중되는 기관 투자금
최근 다양한 지표들이 인플레이션 둔화 신호를 보여주며 연준의 긴축 강도 완화 및 피벗에 대한 기대감이 형성되며 뉴욕증시 및 크립토 시장에 강력한 랠리가 약 한달간 지속됐으나 일부 기업들의 부진한 실적과 WHO의 ‘공중보건 비상사태’ 유지 결정을 트리거로 FOMC에 대한 경계감이 높아지며 일제히 하락하거나 주춤하는 움직임을 보임. 비트코인은 지난주 대비 2.39% 상승했으나, 도미넌스는 여전히 6개월 내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 주요 알트코인은 ETH +2.23%, BNB +3.95%, XRP +0.11%. SOL +5.21%, APT +35.9%를 기록함' [Weekly Report] 2월 1주차 | 비트코인에 집중되는 기관 투자금' 포스트의 썸네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