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에이터 글 모아보기
-
2023년 03월 28일 hot
웹3 포트폴리오 — 샌드뱅크
웹3 포트폴리오 — 샌드뱅크 웹3관련 포트폴리오를 트래킹하거나, 현재 자신이 가지고 있는 투자금에 대한 추적, DeFi에 대한 추적이나 NFT에 대한 추적등을 할 경우 다양한 툴들을 사용해서 추적을 할 수 있습니다. 카테고리를 만들고자 한다면 크게는 다음과 같이 구분을 할 수 있습니다. 암호화폐 거래소 사용자 온체인 토큰 투자자 DeFi 사용자 NFT 투자자 특히 온체인 토큰 투자자나 DeFi및 NFT 투자자의 경우는 다음 글에서 상세하게 다뤄서 올린 관계로 참조를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웹3 포트폴리오 칼럼 바로가기 : http://bit.ly/3JQ1itl 이번 글에서는 샌드뱅크에서 새로 만든 웹3 포트폴리오 트래커를 한번 살펴보기로 합니다. 샌드뱅크측에서 따로 협조 받은 것은 없으나, 이번 베트남 Lightningcon에서 샌드뱅크의 백훈종 COO를 뵙고 제품 소개를 해주셔서 특히 한국 거래소 환경에 최적화된 제품이라 한국 투자자분들에게는 도움이 될 것 같아 따로 소개를 하고자 합니다. 샌드뱅크 포트폴리오는 누구를 위해? 우선 샌드뱅크 포트폴리오는 샌드뱅크라는 CeFi 앱내에서 제공하는 무료 서비스중 하나입니다. 실제로 샌드뱅크는 이 서비스를 통해서 따로 수익을 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CeFi 서비스를 사용하는 고객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서 개발 된 것이라고 합니다. 웹3 포트폴리오 트래커는 위에서 잠시 언급한 것 처럼 다양한 투자 형태에 따라서 구분되어서 사용이 될 수 있는데 샌드뱅크의 포트폴리오 트래커는 한국 암호화폐 거래소 사용자에게 최적화가 되어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투자 형태가 자신과 비슷하다고 한다면 꽤 안정적으로 자신의 투자포트폴리오를 트래킹할 수 있습니다. 한국 원화 거래소를 주로 이용한다. 해외 거래소중에 바이낸스를 주로 이용한다. 가끔 가다가 L1, L2 기반 토큰을 온체인상 매수한다. (No DeFi) 거래소 직접 연결 연결 가능한 거래소 우선 가장 큰 장점은 한국 주요 4대 거래소 (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까지)와 해외거래소는 바이낸스까지 직접 연결이 된다는 것입니다. 직접 연결이 된다는 것은 수동으로 각 거래소에서 매수한 자산을 입력할 필요 없이 실제 거래소에서 자산에 대한 이동이 감지가 되면서 실시간으로 연동이 된다는 뜻입니다. 이때 거래소를 직접 연동하게 되면 보안에 대한 우려가 분명히 생길 수 있어서 이 부분은 샌드뱅크 COO분께 여쭤봤는데, API나 oAuth 형태로 접근하기 때문에 실제 큰 이슈는 없습니다. 업비트, 바이낸스 : API 연동 — 각 거래소에서 API를 발행하고 이때 권한을 자산을 읽는 권한만 부여함. 즉, 입금/출금에 대한 권한을 빼고 발행하게 됨. 빗썸, 코인원, 코빗 : oAuth 연동이라 구글 연동처럼 샌드뱅크에 계정 정보가 가는 것이 아니라 거래소에서 계정 정보를 보관하고 자산을 읽을 권한만 부여해줌. 바이낸스나 업비트의 API 키를 받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PC에서 작업을 해야 하는 부분과 절차 자체가 조금 까다롭다는 단점은 분명히 있지만, 한번 진행하고 나면 각각 바낸과 업비트의 자산 트래킹이 한꺼번에 된다는 장점은 있습니다. (업비트 켜고, 바낸 켜서 자산 확인하고 암산으로 총 자산 계산할 필요가 없음) oAuth 연동되는 거래소 빗썸, 코인원, 코빗의 경우는 간단한 oAuth 연동이라서 로그인정보만 잘 기억하고 있다면 비교적 쉽게 연동이 됩니다. 온체인 자료 연동 샌뱅의 포트폴리오 트래커는 온체인 지갑의 자산도 연동이 가능합니다. 이때 연동이 현재 가능한 체인은 총 5개 체인이며 이더리움과 EVM 호환 체인만 현재 연동이 됩니다. 이더리움 바이낸스 스마트체인 폴리곤 아발란체 아비트럼 지원하는 체인 자체는 많지는 않지만, 이더리움 EVM 호환 계열중에는 TVL과 볼륨이 높은 체인들은 대부분 포함되어 있습니다. 아마도 이후에 요청이 있을 경우 옵티미즘등의 체인들도 추가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샌뱅 포폴 트래커 지원 지갑들 개인지갑 연동은 다양하게 지원이 되는데, 대부분의 Non-Custodial 지갑은 지원을 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메타마스크 트러스트 월렛 마이이더월렛 디센트 (하드웨어 지갑) XUMM 트레져 (하드웨어 지갑) 렛져 (하드웨어 지갑) 팬텀 (솔라나 기반이나 폴리곤과 이더리움만 지원) 레인보우 코인베이스 (개인지갑) 엑소더스 크립토닷컴 (개인지갑) 달력 기능 한가지 유용한 기능은 연동후에 달력에 매수 매도에 대한 정보가 일자별로 보인다는 것입니다. 개인 지갑에서 일어난 트랜스액션을 비롯해 다양한 정보를 언제 어디서 했는지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어서 편하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웹3 포트폴리오 — 샌드뱅크' 포스트의 썸네일 -
2023년 02월 22일 hot
Factor- Camelot 런패 소개
Factor- Camelot 런패 소개 아비트럼 DeFi Summer 가 오고 있는 와중에 이전 DeFi 핫 시즌과 비슷하게 다양한 프로토콜들이 론칭을 하면서 토큰 모집에 나서고 있습니다. 이때 모이는 자금 역시 비교적 높은 규모로 형성되고 있는 가운데 DeFi 상의 런패 참여를 위해서 다양한 정보들을 모아서 봐야합니다. Factor 우선 Abitrum상의 런패는 현재 Camelot Dex에서 많이 이루어지고 현재까지 3개의 런패가 성공적으로 마무리 되었으며 현재는 네번째 런패가 진행중에 있습니다. 이전 런패의 성과를 들여다보면 Camelot Dex에서 사용될 Grail의 경우 약 3.7M USDC를 모집했으며, NEU의 경우는 394K USDC, TROVE는 8,222WETH를 모집하면서 지금까지의 런패들이 NEU를 제외하고는 3M 이상을 모집한 상황입니다. 이번에 Factor의 토큰인 FCTR의 런패가 진행중에 있으며 관련된 정보와 참여 방법 정리합니다. 런패 참여 : https://bit.ly/factor_fctr (레퍼럴 링크 있음) Factor 란? 우선 무작정 런패에 TVL이 모인다고 그냥 참여를 하면 안되기 때문에 기본적인 Factor에대 한 정보를 보기 편하게 모아보고 요약을 합니다. 공식 런패 참여 : https://bit.ly/factor_fctr (레퍼럴 링크 있음) 공홈 : https://factor.fi/ 미디엄 : https://medium.com/@FactorDAO 팔로워 515명 트위터 : https://twitter.com/FactorDAO 팔로워 20.6K 디스코드 : https://discord.com/invite/aDukrZRhDg 팔로워 10.3K 공식 자료 Docs : https://docs.factor.fi/ 간단하게 Factor의 자료를 살펴보면 탈중앙화된 DeFi 미들웨어 입니다. 즉, 프로젝트단이나 개인 트레이더들이 코드 없이 탈중앙화된 볼트나 자금 운영처를 반들어서 이에 따른 수수료를 받을 수 있는 구조입니다. 예시로 된 사용처 3가지를 들여다보도록 하겠습니다. 파생상품 생성 Factor 파생상품 생성 팩터 이용자가 실물 파생상품, MN (Market Neutral) 전략과 다른 전략등을 복합해서 팩터를 이용해서 파생상품을 만들고 다른 DeFi 플랫폼에서 사용가능한 토큰을 생성합니다. 2. 이자 풀 Factor 이자풀 생성 탈중앙화된 풀을 만들어서 대출을 가능하게 해줌. 이자를 만들어내는 토큰 (예를 들어 Lido를 통해 스테이킹된 토큰들)들도 이런식으로 풀을 만들어낼 수 있음. 각 풀들의 경우는 따로 분리가 되었기 때문에 리스크 역시 각 풀로 분산이 되어 있습니다. 3. 토큰화된 바스켓 Factor 토큰화된 바스켓 각종 암호화폐나 인덱스, 실물에 대한 보증등을 모아서 볼트를 만들고 토큰화를 진행합니다. 이에 따라 탈중앙회된 담보를 바탕으로 토큰을 유통 시킬 수 있습니다. AMM등의 연동을 통한 유동성을 만들어낼 수 도 있고 토큰 자체 역시 다양한 체인으로 이동시켜서 사용도 가능한 시나리오가 나옵니다. TL;DR 팩터는 이렇게 들여다보면 DeFi에 대한 이해가 높지 않을 경우 직접 사용하는 것은 어려울 수 도 있겠으나, 프로젝트 입장 (B2B)나 DeFi에서 자유롭게 활동하고 있는 트레이더들의 경우 (B2C)는 No Code라는 매력과 탈중앙화되어 있어서 자동 컨트랙트 기반으로 각종 인덱스나 토큰, RWA (Real world assets)의 토큰화나 파생상품들도 쉽게 만들어내고 유통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팀 전부 익명화되어 있으며, 대표로 되어 있는 분의 트위터는 약 1000명의 팔로워가 있습니다. Alex라고 되어 있는 비즈니스 리드의 경우는 20K 정도의 팔로워를 트위터에 보유하고 있습니다. 마케팅을 담당하는 Louis Cooper의 경우도 약 20K명의 팔로워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디자인쪽이나 기술쪽 담당의 경우는 아예 프로파일이 Factor Dao 트위터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팀의 경우는 여느 DeFi 프로젝트와 다름 없이 전부 아논(Anon- Anonymous — 익명)으로 활동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탈중앙화된 프로토콜 운영인 관계로 실제로 그만큼 팀도 중요하지만 프로토콜의 보안이 더욱더 중요하게 들여다봐야하는 이유중 하나입니다. 팀의 익명화된 프로파일만 보고는 투자하기란 쉽지 않은게 여전히 DeFi 생태계입니다. Real Interest 모델 아비트럼의 DeFi 상품들은 대부분 GMX의 영향을 받아서 Real Interest를 생성할 수 있는 모델을 기반으로 론칭합니다. Factor의 경우도 이와 다르지 않으며 다음과 같은 구조로 유틸리티와 실제 이자를 만들어냅니다. Factor의 수수료 Factor를 통해서 Vault를 만들때 입금과 출금시 0.3%의 수수료가 발생하고, 스왑할 경우에 0.1%의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추가적으로 프로토콜단에서 퍼포먼스와 매니지먼트 수수료를 각각 10%를 청구합니다. 퍼포먼스와 매니지먼트 수수료라는 것은 팩터 사용자가 볼트를 만들 때 자기 볼트에 대한 포퍼몬스와 매니지먼트 수수료를 도합 이익율의 최대 20%까지 설정 가능합니다. 이 중에서 프로토콜 단에서 각각 10%를 가져가는 형태입니다. 이렇게 만들어지는 수수료중 50%는 FCTR 토큰을 스테이킹하고 veFCTR 토큰을 가진 수량만큼 배분이 됩니다. 나머지 50%는 DAO Vault에 저장이 되며 거버넌스를 통해서 투자됩니다. FCTR을 스테이킹할때 기간은 최소 1년에서 최대 4년까지 락업이 되며 락업 기간에 따라 받는 veFCTR 토큰의 수량이 달라집니다. FCTR 락업에 따른 veFCTR 배분 veFCTR은 50%의 수수료 배당뿐만 아니라 거버넌스에 대한 투표권한도 포함이 됩니다. 토크노믹스 Factor 토크노믹스 최대 수량 100,000,000 FCTR 초기 풀린 물량 : Public Sale + Ecosystem Incentive = 이론적으로 30.8% 이나 볼트 보상이나 LP mining등에 사용되는 부분이 20.8%라 정확하게 풀릴 시점을 가늠하기는 어려움. 팀물량 15%는 24개월동안 꾸준히 풀림 50%의 Treasury Reserve는 3.5%년동안 풀림 Factor 토큰의 Emission 모델 TGE를 비롯해서 풀리는 물량의 경우는 약 30%가 안되는 30M FCTR이며 이중 실제 시중에서 유통이 되는 확실한 물량은 퍼블릭 세일때 10%와 Ecosystem Incentive의 일부 물량일 것으로 추정이 됨. 런패 상세사항 일시 : 2022년 2월 21일 부터 24일 까지 방식 : 페어 런치 (판매되는 토큰 수량 한정으로 모금되는 액수에 따라 최종 가격 결정) Factor 런패 2023년 2월 22일 시점 참여 링크: https://bit.ly/factor_fctr (레퍼럴 링크 있음) 참여 방법 : Arbitrum 체인으로 위 참여링크를 통해 Camelot Dex에서 지갑 연결후 USDC로 참여 우선 런패는 2월 24일 까지 참여 가능하며, 어느 시점에 참여를 하더라도 상관은 없습니다. 참여를 위해서는 아비트럼 상에서 USDC와 ETH를 보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ETH는 아비트럼 체인상에서 가스비를 내기 위해서 필요하며, USDC는 런패에 참여하기 위해서 필요합니다. 한번 런패에 입금한 USDC는 다시 취소가 되지 않습니다. 아비트럼에서 USDC 입금하기 아비트럼을 이미 자주 사용하신 분들은 크게 문제가 없겠지만, 처음으로 아비트럼 체인을 사용하시는 분들은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주의하셔야합니다. 아비트럼 체인에서도 ETH가 가스비로 사용됩니다. 즉, 트랜스액션을 위한 최소한의 이더리움이 필요합니다. USDC를 직접 아비트럼으로 보내는 것인 어려울 수 있으나, ETH를 아비트럼으로 보내는 중앙화 거래소를 이용하면 편리합니다. (바이낸스 가능) 메타마스크에서 기존에 사용하던 이더리움이나 폴리곤이나 BSC등의 주소를 그대로 아비트럼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메타마스크에서 아비트럼을 추가하기 위해서는 메타마스크 플러그인을 열고 현재 네트워크 버튼을 누른 후 “Add Network”를 찾으면 Arbitrum One이 보통은 추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Arbitrum One 네트워크 메타마스크 추가하기 혹시 메타마스크에 자동 추가가 없을 경우 다음 정보로 메타마스크에 아비트럼 네트워크를 추가하시면 됩니다. 메타마스크 아비트럼 네트워크 추가 Network Name : Arbitrum One RPC : https://arbitrum-mainnet.infura.io Chain ID : 42161 Currency Symbol : ETH Block Explorer : https://explorer.arbitrum.io 아비트럼 런패 자금 보내기 브릿지릂 이용해서 기존 체인등에서 자금을 보내는 방법도 있지만, 필자의 경우는 빠르게 자금을 보내기 위해서 바이낸스로 다양한 자금을 모아서 보내고 이더리움으로 교환을 했습니다. 이 이더리움을 아비트럼으로 직접 출금을 하시고 아비트럼 상에서 스왑을 하는 것으로 자금을 마련했습니다. 이더리움을 USDC로 스왑하기 위해서는 app.camelot.exchange 를 사용해도 되고, 유니스왑을 (https://app.uniswap.org/#/swap) 사용해도 됩니다. 유니스왑 사용시에는 체인을 Arbitrum으로 전환해서 사용해야 합니다.유동성에 따라서 스왑에 따른 효율도 달라지기 때문에 가능한 많은 USDC를 주는 스왑을 비교해서 이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외에도 브릿지를 통해서 직접 USDC를 다른 체인에서 넘기는 방법이나 USDC를 직접 Arbitrum으로 보내는 중앙화 거래소가 있을 경우 이를 이용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이때 주의해야할 것은 실제 자산이 제대로 이동을 하는지 꼭 먼저 소액으로 테스트를 하고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런패 이전 토큰들의 성과 가장 처음 진행했던 카멜롯 Dex의 토큰인 Grail의 경우는 토큰당 254달러로 런패가 끝났으며 현재는 약 2571달러에 거래가 되고 있어서 런패 시점과 비교해서 약 10배 정도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Grail 토큰 가격 그래프 NEU토큰의 경우 모집된 금액은 적었으나, 런패 시점시 0.65에 판매가 되어 현재는 약 2.15 USD에 거래가 되고 있습니다. NEU 토큰 가격 그래프 이제 막 런패가 끝난 Trove의 경우는 $0.0681 USD로 판매가 완료되었으나 오늘부터 거래가 되면서 가격이 약 18% 떨어져서 $0.051USD로 거래되고 있습니다. 초기 토큰 매도에 따른 가격 압박후 모멘텀을 만들고 상승하는 패턴이 반복 될 경우 $Trove의 가격도 상승할 여력이 있으나, 시장의 반응을 살펴봐야하는 상황입니다. Factor의 미래 우선 아비트럼 기반 DeFi 답게 real interest에 대한 설계는 잘 되어 있는 편입니다. 또한 Dex나 AMM이 아닐 경우 Vault는 사용자들이 직접 만들고 입출금을 해야지 수수료가 발생하게 되는데, Factor의 경우는 이런 초기 성장세를 만들기 위해서 공격적인 파트너십을 통해서 vault 생성을 유도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여기에는 Sperax, Lyra, CVI Finance등이 포함되고 있습니다. 그외에 오딧의 경우도 Solidity Finance를 통해서 완료를 한 상황입니다. 물론 이런 모든 것들이 이후에 충분한 플랫폼의 사용성을 보장하지는 않으며 투자자들과 프로젝트들이 골고루 다양하고 거래가 자주 일어나는 플랫폼이 되어야지 충분한 Real interest를 만들면서 FCTR토큰에 밸류를 만들어줄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집니다.' Factor- Camelot 런패 소개' 포스트의 썸네일 -
2023년 02월 15일 hot
글 읽고 비트코인 모으기
글 읽고 비트코인 모으기 Read To Earn이 가능한 앱이나 서비스들은 많이 있는데, 가장 직관적으로 기사를 읽고 비트코인을 주는 앱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비트코인 매거진 앱 비교적 오래된 비트코이너들의 정보지인 비트코인 매거진은 웹기반 서비스외에도 앱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RtoE는 앱 기반 서비스에만 제공되고 있습니다. 플레이스토 : http://bit.ly/3XxbKL2 앱스토어 : http://bit.ly/3KqcyyL 사용방법 설정 자체는 그 어떤 종류의 앱보다도 간단합니다. 우선 앱을 다운받아서 설치하면 이메일을 등록하고 이메일로 확인 메일이 옵니다. 이메일을 확인을 완료하면 앱으로 돌아가고 이제부터 열심히 글을 읽으면 됩니다. 원하는 기사를 찾아서 읽을 때 기사 끝까지 내리고 읽을 시간 역시 어느정도 지나야 리워드가 지급이 됩니다. 실제로 글을 읽었는지등은 체크를 하지는 않습니다. 글을 다 읽고 나서 다시 메인 화면으로 나오게 되면 위와 같이 녹색 화면으로 사토시가 지급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일반적으로 글 하나 읽을 때 마다 5 사토시를 지급합니다. 이벤트 사토시 중간 중간에 비트코인 관련 이벤트가 있거나, 이메일등을 확인하면 Flash Code라고 해서 추가로 사토시를 지급하는 형태로 관심도를 유지를 합니다. 트위터나 SNS등에서도 플래시코드를 뿌리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잘 살펴보고 추가 보상을 받아서 쌓으시면 됩니다. 출금 출금은 500 사토시 이상 모인 이후부터 곧바로 가능합니다. 지갑쪽으로 가서 Withdraw를 누르면 총 3가지 방법으로 출금이 가능합니다. LNURL이 가능한 라이트닝 네트워크 지원 지갑으로 출금하거나, QR 코드를 생성해서 지갑으로 스캔후 받거나, 라이트닝 인보이스를 만들어서 출금하는 형태입니다. 라이트닝 지갑은 가장 일반적인 Wallet of Satoshi 등을 새로 받아서 만드셔도 무관합니다. Bitcoin Magazine내에 대표적인 지갑들이 표기가 Need a New Wallet 밑에 보입니다. 마치면서 몇일 돌려보면서 글을 읽는것 만으로는 500 사토시를 채우기는 쉽지 않은 것이 맞습니다. 하지만 이메일로 오는 이벤트 사토시나 중간 중간 나오는 이벤트 참여등으로 500 사토시의 경우도 금방 채울 수 있다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현재는 500사토시던 5000 사토시던 큰 돈이 되지는 않을 수 있겠으나, 비트코인의 전방적인 미래를 보고 있을 때는 조금씩 조금씩 모아가는 것은 미래를 위한 작은 투자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특히 비트코인 관련된 뉴스만 집중적으로 보고자 한다면 새로운 소식들을 빠르게 접할 수 있는 비트코인 매거진의 글들도 좋은 자료가 되는 것은 덤으로 가져가는 형태입니다.' 글 읽고 비트코인 모으기' 포스트의 썸네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