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04월 07일 05:55

[2023년 3월] 월간 펀드레이징 마켓 리포트


  • 암호화폐 전체 시가총액 규모는 완만히 상승 추세를 그리고 있으나, 지난 3월 벤처 시장의 주요 자금원이었던 실리콘밸리 뱅크의 파산으로 인해 펀드레이징 마켓의 실적은 저조했음.
  • 3월 펀드레이징 전체 딜 규모는 $770M, 체결 건수는 71건으로 전월 대비 각각 37%, 19% 하락한 수치를 기록함.
  • 다만, 투자지불용의는 약상승하며 전반적인 개별 프로젝트의 딜 사이즈가 확장되고 있음. 이와 더불어 $10M 미만의 소형 딜보다 중대형 딜의 점유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보아, 벤처 투자자로 하여금 약간의 투심 개선을 살펴볼 수 있는 지점임. 특히 이번 3월의 경우 지난 2월과는 달리 Ledger의 $109M 규모 라운드가 마감되며 초대형 딜이 성사되기도 함.
  • 최근 1년간 여전히 Web3 섹터의 펀드레이징이 가장 높은 활성화를 보여주고 있음.
  • DeFi 섹터의 경우 지난달 대비 7%의 투자 점유율이 상승하며 유의미한 지점이 포착되었는데, 이는 이더리움 상하이 포크와 관련된 파생 프로토콜, 더불어 LSD(Liquid Staking Derivatives)프로토콜의 잠재력이 주요한 원인으로 판단됨.
  • 또한 아비트럼 토큰의 성공적 런칭과 동시에 초기 생태계를 선점하려는 수많은 DeFi 프로젝트들의 탄생, 이와 더불어 zk-sync와 같은 넥스트 아비트럼의 가능성이 있는 여타 레이어2 체인 생태계의 관심도 증가에 대한 부분도 큰 요인으로 작용되었을 것으로 사료됨.

1. 3월 크립토 마켓 현황



<Total Cryptocurrency Market Cap, Coinmarketcap>



2. 2023년 3월 펀드레이징 마켓 현황


<Monthly Fundraising Flow (Last 1 Year), Exilist>


이번 3월은 총 71건 $770M 규모의 펀드레이징이 성사되며, 지난 2월 대비 부진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는 건수 측면에서 약 37% 감소, 규모 측면에서 19% 감소한 수치이다. 이에 대한 주요한 원인으로는 실리콘밸리 뱅크의 파산과 밀접한 연관이 있어 보인다. 신생 스타트업의 주요한 자금원이었던 실리콘밸리 뱅크의 파산은 벤처 스타트업 업계 자금 경색의 원인이 되었고, 해당 여파로 인해 벤처 시장 자체의 투심이 위축되었다고 판단된다. 실제 글로벌 크립토 VC ‘Pantera Capital’을 비롯하여 BlockFi, Circle, Avalanche, YugaLabs, Proof, Novalabs 등 굵직한 크립토 기업들이 실리콘밸리 뱅크에 일정 부분 자금이 노출된 것으로 알려졌다.

<Crypto Marketcap & Fundraising Flow (Last 1 Year), Exilist>



1) 전월 대비

<Fundraising status compared to 2023 FEB, Exilist>


2) 최근 1년 월평균 대비

<Fundraising status compared to Avg (Last 1 Year), Exilist>


전월과 비교했을때 펀드레이징 건수의 경우 41건이 줄어들며 대폭 감소하였고, 전반적인 딜 또한 약 $180M 규모가 감소하며 약세한 모습을 보였다. 더불어 최근 1년 월 평균 지표와 비교하여도 건수와 딜 규모 모두 여전히 매우 평균과는 큰 격차를 보이고 있다.
3) 프로젝트당 평균 모금액 (벤처투자 지불 용의)

<Monthly Willing to pay flow, Exilist>


프로젝트당 평균 모금액은 해당 월에 성사된 딜사이즈와 체결 건수를 나눈 값으로, 투자 라운드가 진행되고 있는 프로젝트의 모금액 평균 기대치이다. 이는 다시 말하면 벤처 투자가들의 지불 용의를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지표이기도 하다.

해당 지표는 지난 1월 최저치를 기록한 이후, 완만하게 상승하고 있다. 이는 점차 개별 프로젝트의 딜사이즈가 확장되고 있다는 추세로 볼 수 있으며 벤처투자자들의 투심이 일정 부분 개선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번 3월의 경우 10.8을 기록하며 작년 7월에 근접한 수치까지 회복되었다.
4) 딜 사이즈별 펀드레이징 현황

<Fundraising Flow by Size, Exilist>


해당 차트는 펀드레이징 딜 사이즈를 구간별로 나누어, 구간별 총 펀드레이징 모금액을 %화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번 3월의 경우 지난 2월과 달리 소형 딜의 점유율은 감소하였으며, 중형-대형 딜의 점유율이 상당 부분 차지하였다. 특히 Ledger의 $109M 규모 Extended Series C라운드가 마감되어 초대형딜 또한 성사되었다. 앞서 ‘프로젝트당 평균 모금액’ 파트에서 살펴 보았듯 이번 3월 또한 2월에 이어 전반적인 개별 딜 사이즈 자체가 확장되었으며, 벤처 투자자들로 하여금 중대형급 이상의 딜의 선호도가 보다 높아진 모습이다.

<Fundraising by Deal Size, Exilist>



5) 섹터별 펀드레이징 현황

<Fundraising rate By Sector, Exilist>




<Fundraising Counts by Sector (23.MAR), Exilist>




<Fundraising Amounts by Sector (23.MAR), Exilist>




<Fundraising Trends by Sector, Exilist>



3. 2023년 3월 펀드레이징 TOP 10 프로젝트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