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에이터 글 모아보기
-
2023년 04월 07일 hot
[2023년 3월] 월간 펀드레이징 마켓 리포트
TL;DR 암호화폐 전체 시가총액 규모는 완만히 상승 추세를 그리고 있으나, 지난 3월 벤처 시장의 주요 자금원이었던 실리콘밸리 뱅크의 파산으로 인해 펀드레이징 마켓의 실적은 저조했음. 3월 펀드레이징 전체 딜 규모는 $770M, 체결 건수는 71건으로 전월 대비 각각 37%, 19% 하락한 수치를 기록함. 다만, 투자지불용의는 약상승하며 전반적인 개별 프로젝트의 딜 사이즈가 확장되고 있음. 이와 더불어 $10M 미만의 소형 딜보다 중대형 딜의 점유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보아, 벤처 투자자로 하여금 약간의 투심 개선을 살펴볼 수 있는 지점임. 특히 이번 3월의 경우 지난 2월과는 달리 Ledger의 $109M 규모 라운드가 마감되며 초대형 딜이 성사되기도 함. 최근 1년간 여전히 Web3 섹터의 펀드레이징이 가장 높은 활성화를 보여주고 있음. DeFi 섹터의 경우 지난달 대비 7%의 투자 점유율이 상승하며 유의미한 지점이 포착되었는데, 이는 이더리움 상하이 포크와 관련된 파생 프로토콜, 더불어 LSD(Liquid Staking Derivatives)프로토콜의 잠재력이 주요한 원인으로 판단됨. 또한 아비트럼 토큰의 성공적 런칭과 동시에 초기 생태계를 선점하려는 수많은 DeFi 프로젝트들의 탄생, 이와 더불어 zk-sync와 같은 넥스트 아비트럼의 가능성이 있는 여타 레이어2 체인 생태계의 관심도 증가에 대한 부분도 큰 요인으로 작용되었을 것으로 사료됨. 1. 3월 크립토 마켓 현황 <Total Cryptocurrency Market Cap, Coinmarketcap> 지난 3월 실버게이트, 실리콘밸리 뱅크, 시그니처 뱅크 등 미국 은행의 연달은 파산 사태로 인해 금융 시스템 전반에 큰 충격이 가해졌다. 특히나 실리콘밸리 뱅크의 파산사태는 USDC의 디페깅을 야기하여 암호화폐 시장을 크게 흔들어 놓았다. 암호화폐 전체 시가총액은 해당 사태들로 인해 $910B 규모로 급락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충격도 잠시 비트코인은 28K를 달성하며 다시 한번 연내 최고점을 갱신하였고, 이후 이더리움의 롤업 네트워크 ‘아비트럼($ARB)’의 토큰 런칭 소식에 힘입어 암호화폐 전체 시가총액은 연일 상승가도를 달리고 있다. 2. 2023년 3월 펀드레이징 마켓 현황 <Monthly Fundraising Flow (Last 1 Year), Exilist> 이번 3월은 총 71건 $770M 규모의 펀드레이징이 성사되며, 지난 2월 대비 부진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는 건수 측면에서 약 37% 감소, 규모 측면에서 19% 감소한 수치이다. 이에 대한 주요한 원인으로는 실리콘밸리 뱅크의 파산과 밀접한 연관이 있어 보인다. 신생 스타트업의 주요한 자금원이었던 실리콘밸리 뱅크의 파산은 벤처 스타트업 업계 자금 경색의 원인이 되었고, 해당 여파로 인해 벤처 시장 자체의 투심이 위축되었다고 판단된다. 실제 글로벌 크립토 VC ‘Pantera Capital’을 비롯하여 BlockFi, Circle, Avalanche, YugaLabs, Proof, Novalabs 등 굵직한 크립토 기업들이 실리콘밸리 뱅크에 일정 부분 자금이 노출된 것으로 알려졌다. <Crypto Marketcap & Fundraising Flow (Last 1 Year), Exilist> 올초 암호화폐 전체 시가총액과 펀드레이징 마켓의 월별 딜 규모는 완만한 상승세와 동시에 커플링 형태를 이어갔으나, 이번 3월의 경우 펀드레이징 마켓의 상승 추세가 꺾이며 디커플링으로 전환되었다. 1) 전월 대비 <Fundraising status compared to 2023 FEB, Exilist> 2) 최근 1년 월평균 대비 <Fundraising status compared to Avg (Last 1 Year), Exilist> 전월과 비교했을때 펀드레이징 건수의 경우 41건이 줄어들며 대폭 감소하였고, 전반적인 딜 또한 약 $180M 규모가 감소하며 약세한 모습을 보였다. 더불어 최근 1년 월 평균 지표와 비교하여도 건수와 딜 규모 모두 여전히 매우 평균과는 큰 격차를 보이고 있다. 3) 프로젝트당 평균 모금액 (벤처투자 지불 용의) <Monthly Willing to pay flow, Exilist> 프로젝트당 평균 모금액은 해당 월에 성사된 딜사이즈와 체결 건수를 나눈 값으로, 투자 라운드가 진행되고 있는 프로젝트의 모금액 평균 기대치이다. 이는 다시 말하면 벤처 투자가들의 지불 용의를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지표이기도 하다. 해당 지표는 지난 1월 최저치를 기록한 이후, 완만하게 상승하고 있다. 이는 점차 개별 프로젝트의 딜사이즈가 확장되고 있다는 추세로 볼 수 있으며 벤처투자자들의 투심이 일정 부분 개선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번 3월의 경우 10.8을 기록하며 작년 7월에 근접한 수치까지 회복되었다. 4) 딜 사이즈별 펀드레이징 현황 <Fundraising Flow by Size, Exilist> 해당 차트는 펀드레이징 딜 사이즈를 구간별로 나누어, 구간별 총 펀드레이징 모금액을 %화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번 3월의 경우 지난 2월과 달리 소형 딜의 점유율은 감소하였으며, 중형-대형 딜의 점유율이 상당 부분 차지하였다. 특히 Ledger의 $109M 규모 Extended Series C라운드가 마감되어 초대형딜 또한 성사되었다. 앞서 ‘프로젝트당 평균 모금액’ 파트에서 살펴 보았듯 이번 3월 또한 2월에 이어 전반적인 개별 딜 사이즈 자체가 확장되었으며, 벤처 투자자들로 하여금 중대형급 이상의 딜의 선호도가 보다 높아진 모습이다. <Fundraising by Deal Size, Exilist> 3월에 발생된 $10M달러 미만의 소형 딜은 총 45건에 $165M 규모의 펀드레이징이 성사되었다. 이어서 $10M-$30M 규모의 중형 딜은 총 15건에 $246M, $30M-$100M 규모의 대형 딜은 총 6건에 $250M이 성사되었다. $100M 이상의 초대형딜은 Ledger의 Extended Series C 라운드 1건으로 $109M이 모금되었다. 5) 섹터별 펀드레이징 현황 <Fundraising rate By Sector, Exilist> 이번 3월 또한 전반적인 섹터별 투자 점유율은 유사하게 흘러갔으며, Web3 섹터는 여전히 강세적인 모습을 보였다. 더불어 DeFi 섹터에서도 7%의 유의미한 점유율 상승을 보였는데, 이는 초읽기를 앞둔 이더리움 상하이 포크와 LSD(Liquid Staking Derivatives)와 같은 스테이킹 유동화 프로토콜의 가능성이 보다 수면위로 드러난 점에 기인하여 DeFi의 선호도가 보다 높아졌음을 시사한다. 더불어 아비트럼 토큰이 성공적으로 출시되며 동시에 초기 생태계를 선점하려는 수많은 DeFi 프로젝트들이 탄생하였고, zk-sync와 같은 넥스트 아비트럼의 가능성이 있는 여타 레이어2 체인 생태계의 관심도도 급격히 증가한 점 또한 주요한 요인이 된다. 이러한 DeFi 섹터의 최근 수요는 벤처 주도의 투자 라운드 뿐만이 아니라, 개인이 참여할 수 있는 오버플로우 방식의 퍼블릭 라운드도 매우 활성화되고 있는 모습이다. <Fundraising Counts by Sector (23.MAR), Exilist> 이번 3월의 경우 총 71건의 펀드레이징 중 Web3 섹터에서 28건의 펀드레이징이 성사되며 가장 높은 점유율을 기록했다. 이어서 DeFi 섹터 16건, Infrastructure 섹터 12건, NFTs 섹터가 8건의 펀드레이징이 성사되었다. CeFi 섹터의 경우 7건이 성사되며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Fundraising Amounts by Sector (23.MAR), Exilist> 펀드레이징 규모의 경우 Infrastructure 섹터에서 $298M를 모금하며 가장 높은 점유율을 기록했다. 이어서 Web3섹터 $293M, CeFi 섹터 $84M, DeFi 섹터가 $71M의 모금액을 기록하였다. NFTs 섹터의 경우 $24M를 모금하며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Fundraising Trends by Sector, Exilist> 근 1년간의 흐름을 보았을때, 절대적인 펀드레이징 성사 건수의 경우 여전히 Web3 섹터가 압도적으로 많은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이번 3월 또한 Web3 섹터가 그 명맥을 이어갔다. 펀드레이징 규모 측면에서는 Ledger의 빅딜 성사로 인해 Infrastructure 섹터가 리딩하였다. 3. 2023년 3월 펀드레이징 TOP 10 프로젝트 1. 블록체인 하드월렛 제조사 Ledger, $1.4B 밸류에이션 $109M 모금 관련기사: https://www.coindesk.com/business/2023/03/30/crypto-hardware-wallet-maker-ledger-raises-most-of-109m-round-bloomberg/ 홈페이지: https://www.ledger.com/ 주요 투자자: 10T Fund, CapHorn Invest, Morgan Creek Digital 2. 스테이킹 유효성 검사 프로토콜 EigenLayer, 시리즈A $50M 모금 관련기사: https://www.coindesk.com/business/2023/03/28/staking-protocol-eigenlayer-raises-50m-amid-crypto-winter/ 홈페이지: https://www.eigenlayer.com/ 주요 투자자: Blockchain Capital, Electric Capital, Polychain Capital, Hack VC, Finality Capital Partners, Coinbase Ventures 3. 이더리움 L2 솔루션 Scroll, $1.8B 밸류에이션 $50M 모금 관련기사: https://www.theblock.co/post/217340/ethereum-scaling-scroll-50-million-funding-round-1-8-billion-valuation 홈페이지: https://scroll.io/ 주요 투자자: Polychain Capital, Sequoia China, Bain Capital Crypto, Moore Capital Management, Variant, Newman Capital, IOSG Ventures, Qiming Venture Partners 4. 탈중앙화 인터넷 Tomi, DWF Labs 주도하에 $40M 모금 관련기사: https://tomi.com/blog/we-have-raises-$40m-to-build-a-decentralized,-surveillance-free-internet-alternative?id=1044 홈페이지: https://tomi.com/ 주요 투자자: DWF Labs, Ticker Capital, Piha Equities, Hirokado Kohji 5. CCP Games, Andreessen Horowitz 주도하에 $40M 모금 관련기사: https://www.ccpgames.com/news/2023/ccp-games-has-secured-usd40m-led-by-andreessen-horowitz-for-an-innovative 홈페이지: https://www.ccpgames.com/ 주요 투자자: Andreessen Horowitz, Makers Fund, BITKRAFT Ventures, Kingsway Capital, Hashed, Nexon 6. AI 중심 암호화 프로토콜 Fetch.ai, 분산형 기계 학습 배포를 위한 $40M 모금 관련기사: https://www.coindesk.com/business/2023/03/29/ai-focused-crypto-protocol-fetchai-raises-40m-to-deploy-decentralized-machine-learning/ 홈페이지: https://fetch.ai/ 주요 투자자: DWF Labs 7. 비수탁형 월렛 Bitkeep, Bitget에 $300M 밸류에이션 $30M 규모 지분 매각 관련기사: https://www.theblock.co/post/221903/bitget-bitkeep-acquisition-investment 홈페이지: https://bitkeep.com/ 주요 투자자: Bitget 8. OP3N, WEB3용 ‘WhatsApp Meets Amazon’ 구축을 위해 $28M 모금 관련기사: https://techcrunch.com/2023/03/21/op3n-raises-28m-to-build-whatsapp-meets-amazon-for-web3/ 홈페이지: https://op3n.world/ 주요 투자자: Animoca Brands, Dragonfly Capital, Superscrypt, Connect Ventures, Republic, Blizzard Fund, Galaxy Digital, Warner Music Interactive, GSR Markets, Spartan Group, BRV Capital Management, Russell Westbrook 9. 디지털자산 생성 관리 툴 Kresus, 시리즈 A라운드 $25M모금 관련기사: https://www.finsmes.com/2023/03/kresus-raises-25m-in-series-a-funding.html 홈페이지: https://www.kresus.com/ 주요 투자자: Liberty City Ventures, JetBlue Ventures, Franklin Templeton Investments, Marc Benioff, Cameron Winklevoss, Tyler Winklevoss, Craft Ventures 10. 스위스 암호화폐 스타트업 SwissBorg, 커뮤니티 펀딩 라운드에서 $23M 모금 관련기사: https://www.venturelab.swiss/SwissBorg-raises-USD-23-million-in-community-funding-round 홈페이지: https://swissborg.com/about-us' [2023년 3월] 월간 펀드레이징 마켓 리포트' 포스트의 썸네일 -
2023년 03월 08일 hot
[2023년 2월] 월간 펀드레이징 마켓 리포트
TL;DR 크립토 전체 시가총액과 펀드레이징 마켓 규모는 커플링 형태를 보이고 있음. 2월 펀드레이징 전체 딜 사이즈는 $951M, 체결 건수는 112건으로 전월 대비 각각 68%, 51% 상승한 수치 $100M 규모 이상의 초대형 딜은 발생하지 않았으나, 전월 대비 중대형 딜의 점유율에서 유의미한 상승률을 보임 펀드레이징 마켓의 주요 투자 행위자 (VC, 기관)의 투심이 서서히 개선되고 있음. Web3 섹터의 펀드레이징이 가장 높은 활성화를 보여주고 있으며, 투자 건수 및 딜사이즈 모두 우세. 특히 소셜, 게이밍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레이어의 딜이 주목받고 있음. 1. 2월 크립토 마켓 현황 <https://coinmarketcap.com/charts/> 암호화페 전체 시가총액은 23년 1월 약 $0.8T 규모로 저점을 기록한 후, 2월 마감일 기준 $1.08T로 반등하며 완만한 상승 장세를 유지해오고 있다. 지난 1월의 폭발적인 상승 배경에는 아비트럼이 촉발한 레이어2 메타와 더불어 AI 테마, LSD, 바이낸스 최근 상장 리스트의 급격한 펌핑이 시장의 내러티브를 주도했었다. 이번 2월의 경우 전반적인 상승 기조는 유지되고 있으나, 1월의 상승분에는 못미치는 수준으로 다소 수렴하는 형태를 띄고 있다. 더불어 1월에 촉발된 내러티브들은 급격히 잠잠해지고 있으며, 이번 2월의 경우 홍콩의 암호화폐 규제 완화 기대감과 코인베이스의 레이어2 ‘BASE’ 출사표가 새로운 시장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다. 2. 2023년 2월 펀드레이징 마켓 현황 전달 1월 우리는 펀드레이징 마켓에서 전년도 12월 대비 약 35% 증가한 수치인 74건의 딜이 성사된 지표를 통해, 시장 상황에 있어 고무적인 지점을 목격하였다. 이번 2월 또한 이러한 긍정적인 기조를 이어가고 있으며, 유의미한 지표가 보다 여실히 드러났다고 볼 수 있다. 전체 딜 사이즈는 $951,299,151 규모가 성사되었으며, 112건의 딜이 체결되었다. 이는 전월 대비 규모 면에서 약 68% 증가한 수치이며, 건수 측면에서는 약 51% 증가한 수치이다. 최근 들어 펀드레이징 마켓의 월별 전체 딜 사이즈와 암호화폐 전체 시가총액의 흐름은 커플링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암호화폐 전체 시가총액이 1월대비 급격히 상승한 만큼 펀드레이징 딜 사이즈 또한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다. 1) 전월 대비 2) 최근 1년 월평균 대비 전월과 비교했을때 펀드레이징 규모와 건수 모두 대폭 증가했다는 긍정적인 신호가 포착되었다. 이번달을 기점으로 올해의 전반적인 펀드레이징 마켓의 흐름이 매우 기대가 되는 부분이다. 다만, 최근 1년 월 평균 지표와 비교했을때는 건수와 모금액 모두 여전히 평균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부분은 다소 아쉬운 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월의 지표와 비교했을때 그 격차는 유의미한 수준으로 줄어들고 있는 추세인 점은 높이 살만 하다. 3) 프로젝트당 평균 모금액 (VC 지불 용의) 프로젝트당 평균 모금액은 해당 월에 성사된 딜사이즈와 체결 건수를 나눈 값으로, 투자 라운드가 진행되고 있는 프로젝트의 모금액 평균 기대치이다. 이는 다시 말하면 벤처 투자가들의 지불 용의를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지표이기도 하다. 지난 1월 프로젝트당 평균 모금액은 $7.6M을 기록하며 최저치를 갱신하며, VC들의 투자지불용의(투심) 측면에서 굉장히 악화된 모습을 띄고 있었다. 하지만 이번 2월에 들어서 $8.4M의 수치로 약 반등하여 일정 부분 투심의 개선이 이루어졌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정량적으로 그 수치는 여전히 작다고 볼 수 있다. 4) 딜 사이즈별 펀드레이징 현황 해당 그림은 펀드레이징 딜 사이즈를 구간별로 나누어, 구간별 총 펀드레이징 모금액을 %화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번 2월 또한 여전히 $10M 미만 소규모 딜이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나, $10M 이상 $30M 미만의 중형 딜이 전달 대비 약 12%의 점유율 상승을 기록하였고, $30M 이상 $100M 미만의 대형 딜이 약 19%의 점유율 상승을 기록하며 중대형 사이즈의 딜이 선호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는 VC로 하여금 어느 정도의 투심 개선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이번 2월의 경우 $10M달러 미만의 소형 딜은 총 69건에 $275M 규모의 펀드레이징이 성사되었다. 이어서 $10M-$30M 규모의 중형 딜은 총 22건에 $338M, $30M-$100M 규모의 대형 딜은 총 7건에 $336M이 성사되었다. $100M 이상의 초대형딜은 성사되지 않았다. 5) 섹터별 펀드레이징 현황 이번 2월 또한 여전히 CeFi 및 NFTs 섹터의 점유율은 저조했다. 더불어 Web3와 인프라스트럭쳐 섹터가 여전히 강세를 보이며 전체 섹터 중 과반 이상 점유율을 차지했다. 이러한 흐름은 2022년 하반기부터 지속되고 있으며, 펀드레이징 마켓의 투심은 여전히 FTX 사태의 여파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 들어 Web3 기반의 서비스, 다시 말하면 유저가 제일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레이어'에 해당하는 프로젝트들의 펀드레이징이 인기를 끌고 있는 추세이다. 이번 2월을 예시로, 탈중앙화 그룹챗 Towns는 a16z의 주도로 $25.5M을 모금했으며 이외 Web3 섹터의 상위 모금 프로젝트의 대부분은 메타버스와 게이밍 프로젝트가 차지했다. <https://www.lens.xyz/> 이에 대한 원인은 2022년부터 빌딩해온 게이밍, 소셜네트워킹 프로젝트들의 프로덕트가 서서히 모습을 드러내고 있으며, 그 완성도 또한 이제는 직접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단계에 이르렀고, 이와 더불어 사용성 부분에서도 과거의 블록체인 서비스와는 남다른 평가를 받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Web3 섹터의 펀드레이징은 여전히 견고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이 흐름은 꽤나 장기적으로 유지될 전망으로 보인다. 이번 2월의 경우 총 112건의 펀드레이징 중 Web3 섹터에서 49건의 펀드레이징이 성사되며 가장 높은 점유율을 기록했다. 이어서 인프라스트럭쳐 섹터 26건, DeFi 18건, NFTs가 10건의 펀드레이징이 성사되었다. CeFi 섹터의 경우 9건이 성사되며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펀드레이징 규모의 경우 Web3 섹터에서 $337M를 모금하며 가장 높은 점유율을 기록했다. 이어서 인프라스트럭쳐 섹터 $280M, CeFi 섹터 $189M, DeFi 섹터가 $10M를 하였다. NFTs 섹터의 경우 $41M를 모금하며 가장 적은 수치를 보였다. 근 1년간의 흐름을 보았을때, 절대적인 펀드레이징 성사 건수의 경우 여전히 Web3 섹터가 압도적으로 많은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이번 2월 또한 Web3 섹터가 그 명맥을 이어갔다. 더불어 펀드레이징 규모 측면에서도 Web3 섹터가 리딩하였다. 3. 2023년 2월 펀드레이징 TOP 10 프로젝트 1. Chain Reaction,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 인프라 설계 및 확장을 위한 시리즈 C 라운드 $70M 모금 관련기사: https://www.finsmes.com/2023/02/chain-reaction-raises-70m-in-series-c-funding.html 홈페이지: https://www.chain-reaction.io/ 주요 투자자: Morgan Creek Digital, Hanaco Ventures 2. Tarus, 디지털 자산 및 증권형 토크나이징 플랫폼 확장을 위한 시리즈 B 라운드 $65M 모금 관련기사: https://blog.taurushq.com/taurus-raises-usd-65-million-from-strategic-investors/ 홈페이지: https://www.taurushq.com/ 주요 투자자: Credit Suisse, Deutsche Bank, Pictet Group, Arab Bank Switzerland 3. SALT, FTX 붕괴 이후 운영 재개를 위한 시리즈 A 라운드 $64.4M 모금 관련기사: https://www.coindesk.com/business/2023/02/07/crypto-lender-salt-raises-644m-to-resume-operations/ 홈페이지: https://saltlending.com/ 4. Carbonplace, 탄소 배출권 플랫폼 확장을 위한 $45M 모금 관련기사: https://www.prnewswire.com/news-releases/carbonplace-announces-new-ceo-secures-usd-45-million-in-funding-301741174.html 홈페이지: https://carbonplace.com/partners/ 주요 투자자: BBVA, National Australia Bank, Standard Chartered Bank, UBS 5. 비트코인 마이닝 기업 TeraWulf, 재무구조 완화를 위한 $32M 모금 관련기사: https://www.theblock.co/post/208069/bitcoin-miner-terawulf-raises-32-million-in-equity-offerings 홈페이지: https://www.terawulf.com/ 6. SIMBA Chain, 미 공군 STRATFI 그랜츠 $30M 수여 관련기사: https://news.bitcoin.com/simba-chain-awarded-30m-u-s-air-force-stratfi/ 홈페이지: https://simbachain.com/ 주요 투자자: US Air Force 7. 암호화폐 보안 기업 Coincover, 시리즈 B 라운드 $30M 모금 관련기사: https://www.theblock.co/post/210061/crypto-protection-startup-coincover-raises-30-million 홈페이지: https://www.coincover.com/ 주요 투자자: Foundation Capital 8. GrainChain, 글로벌 확장 가속화를 위한 $29M 모금 관련기사: https://grainchain.medium.com/grainchain-secures-29m-to-accelerate-global-expansion-70cc3c168a93 홈페이지: https://www.grainchain.io/ 주요 투자자: Overstock, Pelion Venture Partners, BYU Cougar Capital 9. Town Square, 디지털 타운 플랫폼 확장을 위한 시리즈 A 라운드 $25.5M 모금 관련기사: https://www.theblock.co/post/214363/houseparty-co-founder-raises-25-5-million-for-ethereum-town-square-protocol 홈페이지: https://www.towns.com/ 주요 투자자: Andreessen Horowitz 10. Beldex, 익명성 프로토콜 개발을 위해 $25M 모금 관련기사: https://beldexcoin.medium.com/beldex-raises-25m-from-web3-investment-firm-dwf-labs-1cecc540edb1 홈페이지: https://www.beldex.io/ 주요 투자자: DWF Labs' [2023년 2월] 월간 펀드레이징 마켓 리포트' 포스트의 썸네일 -
2023년 02월 17일 hot
[2023년 1월] 월간 펀드레이징 마켓 리포트
TL;DR 전반적인 암호화폐 시장이 하락함에도 불구하고, 펀드레이징 마켓은 2022년 상반기까지 준수한 지표를 보였음 2022년 하반기에 촉발된 테라 사태 및 FTX 붕괴 등 암호화폐 시장의 근본적인 신뢰도 문제가 대두되었고, 펀드레이징 마켓의 활성도는 급감 2023년 1월 펀드레이징 마켓의 데이터 또한 여전히 불황의 기조는 이어지고 있으나, 펀드레이징 성사 건수는 35% 증가하며 고무적인 지표가 포착됨 현재 VC들은 상대적으로 딜사이즈가 작은 소형~중소형 딜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Web3 섹터의 펀드레이징이 가장 높은 활성화를 보여주고 있으나, 펀드레이징 규모 측면에서는 인프라스트럭쳐 섹터가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이고 있음 23년 1월 펀드레이징 상위 프로젝트 리스트에서 zK 솔루션 개발 및 Web3 소셜, 게이밍 카테고리가 다수 겹치는 점은 주목할 만한 부분 1. 2022 크립토 펀드레이징 리뷰 2021년 11월 암호화폐 전체 시가총액은 고점을 갱신한 후, 이후 2022년에 들어서는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2021년 11월 고점 기준 전체 마켓캡은 $3T 규모에 육박하였으나, 현재 약 $1T 규모로 형성되며 시장은 급격히 축소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와는 반대로 크립토 펀드레이징의 경우 2022 Q2까지만 해도, 준수한 상태로 상승 유지 하는 모습을 보였다. 심지어 실제 암호화폐 전체 시가총액이 전고점을 달성한 해였던 2021년 보다도 펀드레이징은 더욱 더 활성화 되는 모습이었다. 하지만 2022년 5월 촉발된 테라 붕괴 사태에 이어, 쓰리애로우, FTX, DCG 등 굵직한 대형 기관들이 연달아 무너지며, 암호화폐 시장 자체에 대한 신뢰성 문제가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2022 Q3 펀드레이징은 급감하였으며, 심지어 2022년 12월의 펀드레이징 규모는 1월 대비 88% 감소한 상태로 2022년을 마감하였다. 2. 2023년 1월 펀드레이징 마켓 현황 다소 암울한 2022년 펀드레이징 마켓의 기조가 아직은 가시지 않아 보인다. 2023년 1월 펀드레이징 규모는 $566M을 기록하며 다시 최저치를 갱신하였다. 하지만 고무적인 것은 펀드레이징 건 수는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전달 2022년 12월은 고작 55건의 딜이 발생한 수준에 그쳤으나, 이번 1월은 74건을 기록하며 무려 35% 가까이 증가하였다. 이는 VC들의 지불 가능 금액이 축소되었거나, 시장 상황을 고려하여 투자 대상의 밸류에이션 산정에 보수적인 스탠스를 취하고 있음을 반증한다. 더불어 과감히 모금액을 태울 수 있는 프로젝트 또한 비교적 적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하지만 투자 건수는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보아, 시장 자체의 매력도는 유효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통상 펀드레이징이 연초에 활성화되는 경향은 분명히 있으나, 올해 1월을 기점으로 암호화폐 시장 자체에도 훈풍이 불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이더리움 상하이 하드포크가 초읽기를 앞둔 시점에서 LSD관련 프로젝트의 가능성과, Chat GPT가 촉발한 AI 메타는 시장의 상승을 견인하게 충분한 재료가 되었다. 이에 따라 암호화폐 전체 시가총액은 작년 연말 기준 약 $800B 규모에 머물렀으나, 현재는 다시 $1T 규모를 기록하고 있다. 1) 전월 대비 2) 2022 월평균 대비 전월과 비교했을때 펀드레이징 건수가 증가했다는 긍정적인 신호는 포착할 수 있었으나, 2022년 월 평균과 비교했을때는 건수와 모금액 모두 여전히 작년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3) 프로젝트당 평균 모금액 (VC 지불 용의) 프로젝트당 평균 모금액 또한 2022년 1월 $35.5M을 기록한 이후 지속적인 하락 추세로 올해 1월의 경우 $7.6M을 기록하며 최저치를 갱신하였다. 프로젝트당 평균 모금액은 벤처 투자가들의 지불 용의를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벤처 투자가들의 투심은 굉장히 악화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전반적인 딜 사이즈 자체도 매우 축소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4) 딜 사이즈별 펀드레이징 현황 해당 그림은 펀드레이징 딜 사이즈를 구간별로 나누어, 구간별 총 펀드레이징 모금액을 %화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2022년 상반기까지만 하여도, $100M 이상 큰 규모의 딜이 과반 이상 차지했으나, 이후 주로 시드라운드와 같은 초기 단계의 $10M 미만 소규모 딜의 비율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시장 상황 악화로 인해 프로젝트에게 투자하는 자금 자체가 작아지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으며, 보수적인 스탠스로 저밸류에이션 프로젝트의 선호도가 증가하는 모습 또한 엿볼 수 있다. 이번 1월의 경우 $10M달러 미만의 소형 딜은 총 55건에 $213M 규모의 펀드레이징이 성사되었다. 이어서 $10M-$30M 규모의 중형 딜은 총 10건에 $135M, $30M-$100M 규모의 대형 딜은 총 2건에 $93M이 성사되었다. $100M 이상의 초대형딜은 단 1건 성사되었으며, 그 규모는 $125M이다. 5) 섹터별 펀드레이징 현황 2022년 상반기까지만 해도, CeFi 및 DeFi의 펀드레이징 비율이 꽤나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2022년 5월 테라의 붕괴로 인한 DeFi의 신뢰도에 금이 가고, 이후 추가적인 FTX 사태로 CeFi의 신뢰도도 또한 무너졌다. 펀드레이징 또한 이에 반증하듯, CeFi와 DeFi 프로젝트의 딜 성사가 급감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인프라스트럭쳐 섹터의 경우, 이더리움의 레이어2 솔루션인 옵티미스틱 롤업 계열의 가시적인 성과와 zK의 가능성이 2022년 하반기부터 점차 윤곽을 드러냈으며, 이와 더불어 멀티체인, 크로스체인, 브릿지 기술의 실사용 케이스가 다수 발생하며 인프라스트럭쳐 섹터의 펀드레이징 비율은 증가세로 전환되었다. 이번 2023년 1월의 경우 총 74건의 펀드레이징 중 Web3 섹터에서 31건의 펀드레이징이 성사되며 가장 높은 점유율을 기록했다. 이어서 인프라스트럭쳐 섹터 23건, DeFi 10건, NFTs가 7건의 펀드레이징이 성사되었다. CeFi 섹터의 경우 3건이 성사되며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펀드레이징 규모의 경우 인프라스트럭쳐 섹터에서 $327M를 모금하며 가장 높은 점유율을 기록했다. 이어서 Web3 섹터 $183M, CeFi 섹터 $22M, DeFi 섹터가 $19M를 하였다. NFTs 섹터의 경우 $13M를 모금하며 가장 적은 수치를 보였다. 근 1년간의 흐름을 보았을때, 절대적인 펀드레이징 성사 건수의 경우 여전히 Web3 섹터가 압도적으로 많은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반면 펀드레이징 규모 자체는 인프라스트럭쳐 섹터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3. 2023년 1월 펀드레이징 TOP 10 프로젝트 1. Blockstream, 채굴 작업 확장을 위해 $125M 모금 관련기사: https://www.prweb.com/releases/2023/1/prweb19127332.ht 홈페이지: https://blockstream.com/ 주요 투자자: Kingsway Capital, Fulgur Ventures 2. QuickNode, 시리즈 B 라운드에서 $800M 밸류에이션으로, $60M 모금 관련기사: https://www.theblock.co/post/205028/quicknode-reaches-800-million-valuation-in-series-b-round 홈페이지: https://www.quicknode.com/ 주요 투자자: 10T Fund, Tiger Global, Protocol Labs, Seven Seven Six 3. AI 결합형 Web3 소셜 플랫폼 Plai Labs, 시드 라운드에서 $32M 모금 관련기사: https://www.coindesk.com/web3/2023/01/19/tech-veteran-backed-web3-social-platform-plai-labs-raises32m-in-seed-round/ 홈페이지: https://plailabs.com/ 주요 투자자: a16z 4. zK 기술 개발사 Nil Foundation, $220M 밸류에이션으로, $22M모금 관련기사: https://www.theblock.co/post/203411/zk-tech-developer-nil-foundation-raises-22-million-at-a-220-million-valuation 홈페이지: https://nil.foundation/ 주요 투자자: Polychain, Starkware, Mina Protocol, Blockchain Capital 5. ZK 증명 스타트업 Ulvetanna, 시드 라운드 $15M 모금 관련기사: https://www.theblock.co/post/203568/zk-proof-funding-seed 홈페이지: https://www.ulvetanna.io/ 주요 투자자: Jump Crypto, Paradigm 6. Web3 인프라 기업 Parfin, Framework Ventures 주도로 $15M 모금 관련기사: https://www.theblock.co/post/202496/framework-ventures-leads-parfins-15-million-raise-to-provide-web3-rails-in-latam 홈페이지: https://parfin.io/en/ 주요 투자자: Framework Ventures 7. 마켓메이커 CyberX, Foresight Ventures 주도로 $15M 모금 관련기사: https://www.coindesk.com/business/2023/01/12/crypto-market-maker-cyberx-gets-15m-from-foresight-ventures/ 홈페이지: https://www.cyberx.com/ 주요 투자자: Foresight Ventures 8. 소셜 암호화폐 지갑 기업 The Easy Company, 시드 라운드 $14.2M 모금 관련기사: https://techcrunch.com/2023/01/10/the-easy-company-raised-14-2m-to-build-an-easy-to-use-crypto-wallet/ 홈페이지: https://easy.me/ 9. 탈중앙화 이더리움 스테이킹 인프라 Obol Networks, 시리즈A $12.5M 모금 관련기사: https://blog.obol.tech/announcing-our-series-a/ 홈페이지: https://obol.tech/ 주요 투자자: Pantera Capital, Coinbase Ventures, Placeholder, Blocktower, Spratan 10. 네오위즈 Intella X, Web3 게임 플랫폼을 위해 $12M 모금 관련기사: https://venturebeat.com/games/neowizs-intella-x-raises-12m-for-web3-gaming-platform/ 홈페이지: https://intellax.io/ 주요 투자자: Polygon, Animoca Brands, Magic Eden, Planetarium, Pearl Abyss, Wemix' [2023년 1월] 월간 펀드레이징 마켓 리포트' 포스트의 썸네일